
정체성 정치와 남녀 대립적 페미니즘 마르크스주의적 비판
정체성 정치와 남녀 대립적 페미니즘에 기반한 차별 반대 운동을 우파의 공격에 맞서 단호하게 방어하면서도 그 강점과 약점을 마르크스주의적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대안을 제시한다.
특히 정체성 정치와 남녀 대립적 페미니즘의 강점과 약점을 국내 여성운동의 경험 속에서 살펴본다는 것이 특징이다. 이를 위해 젠더 갈등과 이대남 논쟁, 트랜스 여성의 숙명여대 입학 포기 사건, 2018년 불법 촬영 항의 운동, 신지예의 윤석열 캠프 합류 소동 등 최근 몇 년새 일어난 주요 운동과 논쟁을 살펴보며 교훈을 이끌어 내고 대안적 사상과 전략이 필요함을 주장한다.
지은이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계급 관계를 무시하고 남성 일반을 이해관계가 동일한 하나의 집단으로 보는 것은 현실과 동떨어진 것일 뿐 아니라 여성 차별 반대 운동의 전진을 방해하고 사회운동의 파편화와 불필요한 분열을 낳기 쉽다고 비판한다.
책 소개
이 책에서 다루는 정체성 정치란 차별에 맞서 특정 정체성을 공유하는 사람끼리 뭉치자고 호소하는 것이고, 남녀 대립적 페미니즘이란 남성과 여성을 대립적으로 보고 남성 일반을 잠재적 성범죄자나 권력자로 보는 페미니즘을 뜻한다(흔히 급진적 페미니즘으로 불린다). 정체성 정치와 남녀 대립적 페미니즘에 대한 비판은 우파부터 자유주의자, 좌파에 이르기까지 여러 방면에…
더보기차례
머리말 1부 정체성 정치와 마르크스주의 정체성 정치, 차별에 맞서는 효과적 무기일까? 교차성이 정체성 정치의 대안일까? 마르크스주의와 차별 차별에 맞선 투쟁과 레닌 2부 한국의 페미니즘과 정체성 정치 1장 젠더 갈등을 어떻게 볼 것인가? 페미니즘에 대한 백래시의 성격 젠더 갈등의 원인과 해결책 ‘이대남’ 논쟁과 정의당 페미니즘 2장 한국 페미니즘의 …
더보기본문 중에서
첫 문장 정체성 정치는 오늘날 여성운동 등 여러 차별 반대 운동에서 상식처럼 수용되고 있다. p 8 우파의 페미니즘 공격 우파의 정체성 정치 공격은 차별받는 집단을 사회문제의 원인으로 돌리며 속죄양 삼아 대중의 불만을 엉뚱한 곳으로 돌리고 평범한 사람들을 이간질하기 위한 것이다. 20대 대선을 앞두고 이준석, 윤석열 등 우파 정치인이 페미니즘을 공격한 …
더보기지은이 소개
정진희 한양대학교 대학원 여성학 협동과정에서 여성학 석사 학위를 받았고 경상대학교 대학원 정치경제학과에서 사회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주간신문 <노동자 연대>의 기자로 여성 차별 관련 글을 많이 썼다. 《낙태, 여성이 선택할 권리》(공저, 2019)를 썼고, 《마르크스주의자들의 여성해방론: 콜론타이·체트킨·레닌·트로츠키 저작선》(2015)과 《트랜스젠더 차…
더보기
책갈피 뉴스레터 <이달의 갈피>를 구독하세요!
독자들에게 제때 알맞은 책을 소개하는 알찬 정보를 담아 매달 발송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