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팬데믹 이후 세계경제 인공지능부터 독점, 경기 부양, 현대화폐론까지 경제 핫이슈를 《자본론》으로 짚어 본다
영국의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자이자 런던 금융가(시티)에서 수십 년간 경제 전문가로 일한 지은이가 코로나19가 강타한 세계경제의 현 상태를 설명하고, 위기에 대응하려는 각종 대안과 정책을 마르크스주의 관점에서 날카롭게 분석하는 책이다.
이 책은 한국에서도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는 논의와 관련 깊은 주제를 다룬다. 최신의 케인스주의뿐 아니라 현대화폐론처럼, 최근 좌파 사이에서 떠오른 대안(가령 일자리 보장제)의 근거가 되는 이론을 면밀하게 살펴본다. 독점이 경제 위기의 원인인지(즉, 독점 또는 재벌을 규제하면 되는지), 인공지능이 일자리를 빼앗을 것인지, 경기 침체 속에서도 왜 주가는 뛰는지, 정부의 경기 부양이 먹힐지 등 경제 핫이슈를 어렵지 않게 풀어낸다.
또 토마 피케티나 데이비드 하비처럼 한국에서도 상당히 주목받는 좌파 경제학자의 기여와 함께 한계도 살펴보면서, 마르크스 《자본론》의 혁명적 함의가 여전히 오늘날에도 유의미함을 분명하게 제시하는 것은 무엇보다 두드러진 이 책의 장점이다.
지금의 위기가 어디서 비롯한 것이고 어떻게 끝날 수 있는지 고민하는 독자들이 여러 논의의 이론적 배경과 국제적 논쟁점을 더 넓은 시야로 파악하는 데 이 책이 도움이 될 것이다.
책 소개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의 체제는 심각하고 장기적인 위기에 빠져 있다. 코로나19 팬데믹은 그런 위기의 한 측면으로, 많은 사람이 그 심각성을 절감하게 만들고 있다. 이 책은 코로나19가 강타한 세계경제의 현 상태를 설명하고, 위기에 대응하려는 각종 대안과 정책을 마르크스주의 관점에서 날카롭게 분석한다. 이 책의 지은이 마이클 로버츠는 영국의 마르크스주의 경…
더보기차례
엮은이 말 한국어판 머리말 1부 코로나19와 세계경제 지금의 경제 위기가 단지 코로나19 때문일까? 코로나19 팬데믹 후에 V형 회복이 될까? 장기 불황으로 들어선 세계경제 2부 독점, 인공지능, 주식, 경기 부양: 마르크스주의로 보기 독점: 불평등과 저성장의 원인일까? 인공지능 로봇: 일자리를 빼앗을까? 주식: 경제는 침체인데 왜 뛸까? 경기 부…
더보기본문 중에서
첫 문장 단언컨대, 코로나19 재앙이 끝나면 주류 경제학과 각국 경제 당국은 이 사태가 자본주의 생산양식의 내재적 결함이나 사회구조와는 무관하게 외부 요인으로 발생한 위기였다고 주장할 것이다. p 20 지금의 경제 위기가 단지 코로나19 때문일까? 코로나19는 임계점이었다. 이는 모래 더미를 쌓는 것에 비유할 수 있다. 모래 더미를 쌓고 쌓다 보면 모래…
더보기지은이 소개
마이클 로버츠 Michael Roberts 영국의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자이자 수십 년간 노동운동에서 정치 활동을 해 온 좌파 활동가다. 40년 넘게 런던 금융가(시티)에서 경제 전문가로 일하며 세계 자본주의의 권모술수를 생생히 관찰했다. 《히스토리컬 머티리얼리즘》, 《재커빈》, 《먼슬리 리뷰》 등 세계 유수의 마르크스주의 저널에 여러 논문을 게재했고, 자신…
더보기엮은이 소개
김하영 노동자연대 운영위원으로, 지은 책으로는 《오늘날 한국의 노동계급》(책갈피, 2017), 《4차 산업혁명이 노동의 미래를 바꿀까?》(노동자연대, 2019), 《직무급제는 임금 격차를 해소하는 공정한 임금체계인가》(노동자연대, 2019), 《경제 위기와 구조조정, 노동운동 측의 대안》(노동자연대, 2020), 《제국주의론으로 본 동아시아와 한반도》(공저…
더보기
책갈피 뉴스레터 <이달의 갈피>를 구독하세요!
독자들에게 제때 알맞은 책을 소개하는 알찬 정보를 담아 매달 발송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