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제주의 시각에서 본 한반도 (품절)
서해교전, 탈북자, 북한의 시장 개혁 조치, 북미 대화 재개 등 하루가 멀다하고 우리는 남북 문제를 접하게 된다. 미국 대통령 조지 W 부시가 지명한 ‘악의 축’ 중 하나인 북한을 마주하고 있는 한반도는 불안정하며 하루가 멀다하고 긴장 국면과 화해 국면을 오락가락한다. 예를 들면, 2002년 6월 말 서해교전이 터진 후 급격히 냉각된 남북 관계는 북한의 유감 표명을 계기로 불안정하기는 하지만 다시 대화가 이루어졌다.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 북한 관련 문제만큼 중요한 쟁점도 드물 것이다. 이 문제가 중요한 이유는 첫째, 한반도를 죽음의 땅으로 만들 수 있는 실질적인 전쟁 위협 때문이다. 둘째, 지난 10년 넘게 지속돼 온 북한의 심각한 경제 붕괴 상황과 이로 인한 정치․사회 불안정 등의 문제를 직시할 필요가 있다. 셋째, 남한 정치와의 관련이라는 측면에서도 북한 관련 쟁점은 여전히 중요하다.
그렇다면 이러한 한반도의 평화와 위기는 어떻게 설명해야 하는가? 북한에 대해서는 어떻게 바라봐야 하는가?
책 소개
이 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책들이 한반도 문제를 민족주의 시각에서 보는 것과는 달리, 이 책은 국제주의 시각에서 분석하고 있다. 둘째, 북한을 악마로 만드는 보수적 관점과 북한을 대안 사회로 보는 관점, 이 두 관점과 다른 새로운 관점, 즉 북한은 사회주의가 아니라 국가자본주의라는 관점을 가지고 있다. 더 자세히 살펴 보자. 첫째, 국제…
더보기차례
이 책을 내면서 1부 미국과 한반도 위기 한반도에서 전쟁이 일어날 수도 있는가? 서해교전―미국의 대북 압박이 낳은 결과 미국의 북한 핵사찰 압력 미국 무기사찰단의 구실 미국의 NMD 계획―보복 없는 핵 선제 공격을 꿈꾸며 북한의 인공위성 발사가 드러낸 동북아 세력 관계 미국의 대북 압박 은폐하는 김대중 정부 2부 김대중의 “햇볕 정책” 냉전 해체 이후 분단…
더보기본문 중에서
새로운 좌파 이 두 관점[북한을 악마로 만드는 관점과 북한을 대안 사회로 보는 관점]과 다른 새로운 관점이 옛 소련의 붕괴 이후 지금까지 좌파 내에서 꾸준히 자라 왔다. 우파와 옛 좌파 모두 남이냐 북이냐 하는 데서 출발하지만, 새로운 좌파는 남도 북도 대안이 못 됨을 알고 있다. 내 관점도 새로운 좌파와 출발점을 공유한다. 하지만 새 좌파의 일부는 계급의…
더보기지은이 소개
김하영 1970년에 태어났다. 20년 가까이 사회변혁 운동에 몸담아 왔고, 지금은 좌파 단체 ‘다함께’의 운영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계간지 《마르크스21》의 편집인이고, 격주간지 <레프트21>의 기고가이기도 하다. 지은 책으로 《한국 NGO의 사상과 실천》(책갈피)이 있고, 엮은 책으로 《이집트 혁명과 중동의 민중 반란》(책갈피), 《혁명이 계속되다: …
더보기
책갈피 뉴스레터 <이달의 갈피>를 구독하세요!
독자들에게 제때 알맞은 책을 소개하는 알찬 정보를 담아 매달 발송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