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 보관함
- 2023년 3월
- 2023년 2월
- 2023년 1월
- 2022년 12월
- 2022년 11월
- 2022년 10월
- 2022년 9월
- 2022년 8월
- 2022년 7월
- 2022년 6월
- 2022년 5월
- 2022년 4월
- 2022년 3월
- 2022년 2월
- 2022년 1월
- 2021년 12월
- 2021년 11월
- 2021년 10월
- 2021년 9월
- 2021년 8월
- 2021년 7월
- 2021년 4월
- 2021년 3월
- 2021년 2월
- 2021년 1월
- 2020년 12월
- 2020년 11월
- 2020년 9월
- 2020년 7월
- 2020년 6월
- 2020년 4월
- 2020년 3월
- 2020년 2월
- 2020년 1월
- 2019년 12월
- 2019년 11월
- 2019년 10월
- 2019년 9월
- 2019년 8월
- 2019년 7월
- 2019년 5월
- 2019년 4월
- 2019년 1월
- 2018년 12월
- 2018년 11월
- 2018년 10월
- 2018년 9월
- 2018년 8월
- 2018년 7월
- 2018년 5월
- 2018년 4월
- 2018년 3월
- 2018년 2월
- 2018년 1월
- 2017년 11월
- 2017년 10월
- 2017년 9월
- 2017년 8월
- 2017년 7월
- 2017년 5월
- 2017년 4월
- 2017년 3월
- 2016년 9월
- 2016년 7월
- 2016년 3월
- 2016년 2월
- 2015년 12월
- 2015년 10월
- 2015년 6월
- 2015년 5월
- 2015년 2월
- 2014년 10월
- 2014년 8월
- 2014년 7월
- 2014년 4월
- 2014년 3월
- 2013년 12월
- 2013년 11월
- 2013년 7월
- 2013년 6월
- 2013년 4월
- 2012년 11월
- 2012년 9월
- 2012년 8월
- 2012년 7월
- 2012년 6월
- 2012년 5월
- 2012년 1월
- 2011년 12월
- 2011년 11월
- 2011년 10월
- 2011년 8월
- 2011년 7월
- 2011년 4월
- 2011년 3월
- 2011년 2월
- 2011년 1월
- 2010년 9월
- 2010년 8월
- 2010년 7월
- 2010년 6월
- 2010년 3월
- 2009년 12월
- 2009년 11월
- 2009년 8월
- 2009년 7월
- 2009년 5월
- 2009년 3월
- 2008년 12월
- 2008년 8월
- 2008년 4월
- 2008년 1월
- 2007년 12월
- 2007년 7월
- 2007년 3월
- 2006년 8월
- 2006년 7월
- 2005년 11월
- 2005년 8월
- 2005년 5월
- 2005년 1월
- 2004년 11월
- 2004년 7월
- 2004년 5월
- 2004년 2월
- 2004년 1월
- 2003년 12월
- 2003년 11월
- 2003년 8월
- 2003년 7월
- 2003년 4월
- 2003년 3월
- 2002년 12월
- 2002년 10월
- 2002년 9월
- 2002년 8월
- 2002년 7월
- 2002년 6월
- 2002년 4월
- 2002년 2월
- 2002년 1월
- 2001년 11월
- 2001년 9월
- 2001년 7월
- 2001년 6월
- 2001년 4월
- 2001년 2월
- 2000년 12월
- 2000년 10월
- 2000년 9월
- 2000년 4월
- 1998년 1월
- 1996년 9월
- 1996년 5월
- 1995년 11월
- 1995년 8월
- 1994년 9월
- 1994년 4월
- 1994년 3월
- 1993년 11월
- 1993년 10월
- 1993년 9월
- 1993년 3월
- 1992년 4월
-
그 밖의 기능
서평 신간 서평 《왜 자본주의는 경제 위기에 빠지는가?》
왜 자본주의는 경제 위기에 빠지는가?
출처: <교수신문>
자본주의가 경제 위기에 빠질 때마다 150여 년 전 카를 마르크스의 주장이 재조명을 받곤 한다. 마르크스는 자본주의가 본질적으로 위기에 빠지는 경향이 있다고 주장했다. … 하먼은 이 책에서 이윤율 저하 경향이 자본주의 경제 위기의 근본적 원인임을 보여 주고, 그 법칙으로 자본주의의 역사적 호황과 불황을 설명한다.
마르크스주의 경제위기론의 정수를 밝힌 현대의 고전
출처: <노동자 연대>
마르크스의 경제위기론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마르크스의 설명에서 핵심을 차지하는 이윤율 저하 경향의 법칙을 이해하고 이를 적용해 자본주의 경제 위기들을 분석할 수 있어야 한다. …
마르크스주의자를 자처하는 사람 중 상당수도 근본적 원인으로서 이윤율 저하 경향을 받아들이지 않고, 경제 위기의 원인을 시기마다 다르게 봐야 한다고 주장한다. … 그러나 경제 위기를 일으키는 요인이 그때그때 다르다고 보는 관점은 그 다양한 요인들이 왜 어느 때는 작용했다가 어느 때는 작용하지 않는지를 설명하지 못한다. 경제 위기의 여러 현상들과, 위기의 근본적 원인을 구별해야 하는 것이다. …
심각한 경제 위기로 자본주의의 모순이 전에 없이 첨예해지고 있는 지금 심각하게 대안을 고민하는 사람들에게 이 책은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신간
출처: <레디앙>
마르크스의 경제위기론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오늘날 마르크스주의자를 자처하는 사람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갈린다. 하먼은 이 책에서 이윤율 저하 경향이 자본주의 경제 위기의 근본적 원인임을 보여 주고 … 또 자본주의 체제가 어떻게 이윤율 저하를 상쇄하는 요인들을 만들어 내는지, 그리고 어떻게 특정 단계를 넘어서면 그런 요인들이 더는 작용하지 못하는지를 보여 준다.
신간
출처: <연합뉴스>
영국 사회주의노동자당 중앙위원인 저자는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에 의거, 자본주의 경제 체제는 지속해서 위기를 맞고 있으며 그 근본 원인은 이윤율 저하 경향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저자는 “마르크스가 글을 쓰던 바로 그때 산업자본주의는 세계체제로 발전하면서, 오늘날까지 지속되는 많은 특징을 드러냈다”며 “현실을 잘 파악하려면 마르크스가 제시한 자본주의 분석에 의지해야 한다”고 말한다.
새 책
출처: <한겨레>
크리스 하먼의 마르크스 경제위기론 해설. 이윤율 저하 경향이 자본주의 경제 위기의 근본적 원인임을 보여주고, 자본주의 체제가 어떻게 이윤율 저하를 상쇄하는 요인을 만들어내는지, 어떻게 특정 단계를 넘어서면 그 요인들이 작용하지 못하는지 설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