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너지는 환상 2008년 경제 위기 이후 세계는 어떻게 달라지는가 Bonfire of Illusions : The Twin Crises of the Liberal World
세계적 마르크스주의 석학 알렉스 캘리니코스가 2008년의 극적인 두 사건으로 드러난 세계의 변화를 다루며 독자들에게 질문을 던진다. 첫째는 8월의 러시아-그루지야 전쟁이다. 이 사건으로 냉전 종식 후의 세계 질서가 갑자기 허물어졌다. 이 전쟁은 단순한 영토 분쟁이었는가, 신냉전의 시작을 알렸는가? 제국주의 강대국 간 전쟁 가능성은 현실화할 것인가? 중국과 미국의 복잡한 상호 의존과 갈등은 무엇을 예고하는가?
둘째는 9월의 리먼브러더스 파산이다. 이 사건으로 신자유주의의 실패가 입증되고 세계경제는 1930년대 대공황 이후 최악의 위기에 빠졌다. 그렇다면 신자유주의는 완전히 사라지고 케인스주의가 다시 경제학의 정설이 될 것인가? 국민국가와 보호무역주의가 부활하고 세계화 추세는 후퇴할 것인가? 경제는 다시 성장하기 시작할 것인가, 더블딥에 빠질 것인가? 이번 경제 위기를 신자유주의 금융화의 위기로 봐야 하는가, 자본주의 자체의 위기로 봐야 하는가? 경제 위기의 대안은 무엇인가?
마지막으로, 두 사건은 우연히 발생한 별개의 사건인가, 서로 연관된 사태 전개의 필연적 결과인가? 이 책은 2008년 경제 위기 이후 세계가 어떻게 달라질지 궁금한 사람이라면 꼭 읽어야 할 필독서다.
책 소개
2008년 늦여름과 가을에 일어난 극적인 사건으로 냉전 종식 후의 세계 질서가 갑자기 허물어졌다. 이것은 두 가지 위기가 맞물린 결과였다. 첫째, 2008년 8월 그루지야를 상대로 벌인 짧은 전쟁에서 러시아는 군사력을 과시해 나토의 동진을 저지했다. 둘째, 9월 15일 월스트리트의 투자은행 리먼브러더스가 파산했다. 이 때문에 심각한 금융 폭락 사태가 일어나…
더보기추천사
경제 위기가 자본주의에 내재된 한계고 이를 벗어나는 게 불가능하다면 대안은 뭘까. 캘리니코스는 “우리는 아직 단 한 나라에서도 자본주의를 전복하지 못했고 거기까지 도달하려면 갈 길이 멀다”는 사실을 인정한다. “대안 사회의 윤곽을 자세히 그리려 하면 할수록 자본주의를 뛰어넘는다는 과업의 어마어마함에 압도당하기 십상”이라고 털어놓기도 했다. “가장 큰 당면 …
더보기차례
서문과 감사의 말 서론 2008년에 세계는 어떻게 변했는가 1부 무너진 금융 금융화란 무엇인가? 금융 위기를 보는 세 가지 관점 민스키/하이에크/하비 단지 금융 위기만은 아니다 장기적인 과잉 축적과 수익성 위기/불안정하고 불균형한 세계 금융 시스템/경제성장의 동력이 된 금융 거품 경기회복의 딜레마 2부 포위된 제국 국가의 역습 제국들의 충돌 불협화음을 지휘…
더보기본문 중에서
미국 헤게모니의 약화 그러나 미국 헤게모니의 분명한 약화, 심지어 종말은 첫째 에피소드만큼이나 둘째 에피소드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2008년 9월 리먼브러더스 파산으로 세계 금융시장이 폭락하자 유럽의 주요 정치인들은 재빨리 신자유주의와 미국의 우위가 급격히 약화했다고 주장했다. 프랑스 대통령 니콜라 사르코지는 다음과 같이 선언했다. “자유방임은 끝났…
더보기지은이 소개
알렉스 캘리니코스 1950년 짐바브웨에서 태어난 세계적 석학이자 저명한 마르크스주의 이론가.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자본론의 논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현재 런던 대학교 킹스칼리지 유럽학 교수이며 영국 사회주의노동자당SWP 중앙위원이다. ≪칼 맑스의 혁명적 사상≫(책갈피), ≪반자본주의 선언≫(책갈피), ≪레닌 재장전≫(공저, 마티), ≪사회이론의 역사…
더보기옮긴이 소개
이수현 고려대학교 법대를 졸업했고, 현재 프리랜서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 ≪레닌 평전≫ 2, 3권(책갈피), ≪자본주의의 대안과 사회주의 가치 논쟁≫(책갈피), ≪좌파의 재구성과 변혁 전략≫(책갈피), ≪크리스 하먼의 새로운 제국주의론≫(책갈피)), ≪21세기 대공황과 마르크스주의≫(공역, 책갈피), ≪마르크스주의에서 본 영국 노동당의 역사≫…
더보기
책갈피 뉴스레터 <이달의 갈피>를 구독하세요!
독자들에게 제때 알맞은 책을 소개하는 알찬 정보를 담아 매달 발송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