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크스주의와 국가자본주의론 마르크스의 자본주의 분석을 소련•중국•북한에도 적용할 수 있을까? State Capitalism and Marxist Theory: A survey of the literature

톰 오링컨 지음 천경록 옮김 2022-04-15 144쪽 8,000원 문고판 9788979662221 책갈피

만약 인간의 자유가 부정되고 위압적 관료가 지배한 소련·중국·북한 같은 사회가 모종의 ‘사회주의’라면, 마르크스주의가 인간 해방의 철학이라는 명제는 의문에 부딪힐 것이다. 또는 이런 사회를 자본주의보다 더 반동적인 새로운 계급사회라고 본다면, 서방 자본주의를 ‘차악’으로 여기기 쉬울 것이다.

그러나 만약 소련·중국·북한 같은 사회를 자본주의의 일종으로 이해할 수 있다면, 마르크스의 계급투쟁 이론에 근거한 혁명 전략과 인류 해방 프로젝트는 가능할 뿐 아니라 필요한 것이 된다.

이 책은 이런 사회를 자본주의로 볼 수 있는지 논증하려는 책이다. 이를 위해, 마르크스가 자본주의를 분석하려고 《자본론》에서 발전시킨 개념과 분석 방법을 이런 사회에 적용해 본다. 오늘날 우크라이나 전쟁 같은 강대국 간 갈등과 충돌을 이해하는 데도 국가자본주의론의 도움이 필수적일 것이다.

책 구입하러 가기>>
알라딘예스24인터넷교보인터파크인터넷영풍문고리디북스

책 소개

소련·중국·북한 같은 사회가 억압적이라는 점은 오늘날 많은 좌파도 인정한다. 만약 인간의 자유가 부정되고 위압적 관료가 지배해 온 이런 사회가 모종의 ‘사회주의’라면, 마르크스주의가 인간 해방의 철학이라는 명제는 의문에 부딪힐 것이다. 또는 이런 사회를 자본주의보다 더 반동적인 새로운 계급사회라고 본다면, 서방 자본주의를 ‘차악’으로 여기기 쉬울 것이다. …

더보기

차례

머리말 1장 자본주의란 무엇인가? 2장 후기 자본주의와 제국주의 3장 러시아에서 무슨 일이 있었나? 4장 소련 제국주의와 트로츠키주의의 위기 5장 소련에 관한 토니 클리프의 분석 6장 연속혁명 7장 임금노동 8장 경제 위기   후주 찾아보기

더보기

본문 중에서

첫 문장 카를 마르크스는 현대 경제의 작동 원리를 규명한 자신의 역작에 ‘자본’이라는 간명한 제목을 붙였다. 그런데 자본이란 무엇인가?   p 18~19 자본주의와 사유재산 널리 개인들이 사적으로 소유하던 생산수단이 소수의 손으로 집중됐다. 그러나 이런 형태의 자본주의적 사유재산이 확립되자마자 체제의 동역학이 그것마저 허물어뜨리기 시작했다. 앞서 언급했듯이…

더보기

지은이 소개

톰 오링컨 Tom O’Lincoln 호주의 마르크스주의 역사가다. 미국에서 태어나 1960년대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 캠퍼스에서 베트남 전쟁 반대 운동, 흑인 평등권 운동, 표현의 자유 운동에 참가하며 급진화했고 핼 드레이퍼가 이끈 국제사회주의자들(IS)에 참여해 활동했다. 호주로 이주한 후에는 호주 국제사회주의경향(IST)의 창립에 일조했고, 현재 트로츠…

더보기

옮긴이 소개

천경록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을 졸업하고 캘리포니아대학교 어바인 캠퍼스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옮긴 책으로는 《민중의 세계사》(2004), 《제국주의와 국제 정치경제》(2011), 《새로운 세대를 위한 마르크스 정치학 가이드》(2012), 《자연과학으로 보는 마르크스주의 변증법》(2010), 《무너지는 환상》(공역, 2010), 《21세기 대…

더보기

책갈피 뉴스레터 <이달의 갈피>를 구독하세요!
독자들에게 제때 알맞은 책을 소개하는 알찬 정보를 담아 매달 발송됩니다.

댓글은 닫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