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 보관함
- 2023년 1월
- 2022년 12월
- 2022년 11월
- 2022년 10월
- 2022년 9월
- 2022년 8월
- 2022년 7월
- 2022년 6월
- 2022년 5월
- 2022년 4월
- 2022년 3월
- 2022년 2월
- 2022년 1월
- 2021년 12월
- 2021년 11월
- 2021년 10월
- 2021년 9월
- 2021년 8월
- 2021년 7월
- 2021년 4월
- 2021년 3월
- 2021년 2월
- 2021년 1월
- 2020년 12월
- 2020년 11월
- 2020년 9월
- 2020년 7월
- 2020년 6월
- 2020년 4월
- 2020년 3월
- 2020년 2월
- 2020년 1월
- 2019년 12월
- 2019년 11월
- 2019년 10월
- 2019년 9월
- 2019년 8월
- 2019년 7월
- 2019년 5월
- 2019년 4월
- 2019년 1월
- 2018년 12월
- 2018년 11월
- 2018년 10월
- 2018년 9월
- 2018년 8월
- 2018년 7월
- 2018년 5월
- 2018년 4월
- 2018년 3월
- 2018년 2월
- 2018년 1월
- 2017년 11월
- 2017년 10월
- 2017년 9월
- 2017년 8월
- 2017년 7월
- 2017년 5월
- 2017년 4월
- 2017년 3월
- 2016년 9월
- 2016년 7월
- 2016년 3월
- 2016년 2월
- 2015년 12월
- 2015년 10월
- 2015년 6월
- 2015년 5월
- 2015년 2월
- 2014년 10월
- 2014년 8월
- 2014년 7월
- 2014년 4월
- 2014년 3월
- 2013년 12월
- 2013년 11월
- 2013년 7월
- 2013년 6월
- 2013년 4월
- 2012년 11월
- 2012년 9월
- 2012년 8월
- 2012년 7월
- 2012년 6월
- 2012년 5월
- 2012년 1월
- 2011년 12월
- 2011년 11월
- 2011년 10월
- 2011년 8월
- 2011년 7월
- 2011년 4월
- 2011년 3월
- 2011년 2월
- 2011년 1월
- 2010년 9월
- 2010년 8월
- 2010년 7월
- 2010년 6월
- 2010년 3월
- 2009년 12월
- 2009년 11월
- 2009년 8월
- 2009년 7월
- 2009년 5월
- 2009년 3월
- 2008년 12월
- 2008년 8월
- 2008년 4월
- 2008년 1월
- 2007년 12월
- 2007년 7월
- 2007년 3월
- 2006년 8월
- 2006년 7월
- 2005년 11월
- 2005년 8월
- 2005년 5월
- 2005년 1월
- 2004년 11월
- 2004년 7월
- 2004년 5월
- 2004년 2월
- 2004년 1월
- 2003년 12월
- 2003년 11월
- 2003년 8월
- 2003년 7월
- 2003년 4월
- 2003년 3월
- 2002년 12월
- 2002년 10월
- 2002년 9월
- 2002년 8월
- 2002년 7월
- 2002년 6월
- 2002년 4월
- 2002년 2월
- 2002년 1월
- 2001년 11월
- 2001년 9월
- 2001년 7월
- 2001년 6월
- 2001년 4월
- 2001년 2월
- 2000년 12월
- 2000년 10월
- 2000년 9월
- 2000년 4월
- 1998년 1월
- 1996년 9월
- 1996년 5월
- 1995년 11월
- 1995년 8월
- 1994년 9월
- 1994년 4월
- 1994년 3월
- 1993년 11월
- 1993년 10월
- 1993년 9월
- 1993년 3월
- 1992년 4월
-
그 밖의 기능
서평 신간 서평 《팔레스타인의 저항: 이스라엘과 제국주의에 맞서 해방은 어떻게 가능한가》
팔레스타인의 저항
출처: <교수신문>
이 책은 이스라엘의 본질을 그 기원부터 파헤치며 이스라엘을 후원한 주요 서방 국가들과 이스라엘의 관계가 어떻게 변화하고 발전했는지를 살핀다. 또, 팔레스타인인들의 저항이 지나온 길을 돌아보면서 해방을 쟁취하기 위한 여러 시도들의 성과와 한계를 살펴본다. 그럼으로써 이스라엘과 제국주의 모두에 맞선 투쟁을 통해 팔레스타인인들이 오래도록 염원한 해방을 성취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한다.
팔레스타인 해방의 전략을 다룬 명저
출처: <노동자 연대>
팔레스타인의 저항은 우리로 하여금 미국과 서방 제국주의의 중동 개입 역사와 동역학, 이스라엘의 건국과 성장 과정, 팔레스타인 저항 세력의 구실과 그 한계 등을 잘 알아둘 필요성도 던져줬다. 더 나아가 팔레스타인의 해방을 위해서 어떤 전망이 필요한지도 고민해 봐야 한다. 반갑게도, 이런 점들을 이해하는 데 매우 도움이 되는 책이 최근 출간됐다. … 팔레스타인 저항과 그 전망에 대해 탐구하고자 한다면, 이 책은 매우 훌륭한 참고서가 될 것이다.
신간
출처: <레디앙>
이스라엘과 서방 제국주의 국가들이 팔레스타인을 강탈하기 시작한 이래 팔레스타인인들은 위대한 투쟁을 거듭 벌였다. … 이런 저항이 해방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이 책은 … 이스라엘과 제국주의 모두에 맞선 투쟁을 통해 팔레스타인인들이 오래도록 염원한 해방을 성취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