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팔레스타인의 저항 이스라엘과 제국주의에 맞서 해방은 어떻게 가능한가 Intifada: Zionism, Imperialism and Palestinian Resistance
2021년 5월, 동예루살렘에서 이스라엘이 벌인 팔레스타인인 강제 퇴거 시도와 수많은 사상자를 낸 가자 지구 폭격은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지배를 유지하기 위해 얼마나 잔혹해질 수 있는지를 여실히 보여 줬다.
동시에 팔레스타인인들이 이스라엘의 공격에 맞서 벌인 대중적 시위는 희망도 보여 줬다. 팔레스타인 전역과 이스라엘 영토 안에서 최근 10년 사이 가장 큰 규모로 팔레스타인인들의 대중 시위가 벌어져, 팔레스타인인들을 굴종시키려는 이스라엘의 시도가 실패했음이 드러났다.
이스라엘과 서방 제국주의 국가들이 팔레스타인을 강탈하기 시작한 이래 팔레스타인인들은 위대한 투쟁을 거듭 벌였다. 그들의 단호한 저항은 전 세계의 많은 사람들에게 용기와 희망을 주기도 했다.
이런 저항이 해방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이 책은 이스라엘의 본질을 그 기원부터 파헤치며 이스라엘을 후원한 주요 서방 국가들과 이스라엘의 관계가 어떻게 변화하고 발전했는지를 살핀다. 또, 팔레스타인인들의 저항이 지나온 길을 돌아보면서 해방을 쟁취하기 위한 여러 시도들의 성과와 한계를 살펴본다. 그럼으로써 이스라엘과 제국주의 모두에 맞선 투쟁을 통해 팔레스타인인들이 오래도록 염원한 해방을 성취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한다.
책 소개
1987년 12월에 시작된 팔레스타인인의 항쟁 인티파다는 전 세계 수많은 사람들의 지지를 받았다. 장갑차와 헬기와 총으로 무장한 이스라엘 군대에 팔레스타인 청년들은 몽둥이와 돌과 조잡한 화염병을 들고 맞섰다. 수많은 사상자가 발생했는데도 팔레스타인인들은 단호한 투지로 싸웠고 군대는 저항을 쉽사리 억누를 수 없었다. 팔레스타인인들이 일으킨 이 대중운동은 경제…
더보기추천사
유대인의 팔레스타인 강점 배경에는 현대 서구 제국주의의 어두운 그림자가 깊게 배어 있다. 유대인들의 팔레스타인 정착 운동을 불러일으킨 시온주의 운동의 태동이 서구 제국주의 시대의 유산이며 동시에 현재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강점을 뒷받침하고 있는 배경 역시 서구 제국주의라는 점에서 … 팔레스타인 문제가 단순한 인종적·종교적 갈등이 아니라는 것을 이 책은 말해…
더보기차례
한눈에 보는 서방과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억압 역사 들어가며 1장 인티파다 철권 통치 | 이스라엘의 ‘반투스탄’ | 점령 세대 | 자유를 위한 파업 | 시험대에 오른 이스라엘 | 인티파다와 ‘소국가’ 2장 제국주의 커넥션 시온주의와 제국주의 | 바이츠만의 전략 | 식민지화 과정 | 이간질로 각개격파 | 반란 | 이슈브의 강화 3장 이스라엘 국가를 향하여…
더보기본문 중에서
p 371~373 2011년 이집트 혁명이 가능성을 보여 주다 2011년에 이집트의 대중운동이 무바라크를 제거했다. 대다수 팔레스타인인이 기뻐했고, 미움받던 독재자가 대중적 항의로 몰락한 것(여기서 대중 파업이 결정적 구실을 했다)을 축하했다. … 팔레스타인 운동은 결정적 국면에 처했다. 중동에 단단히 뿌리내린 권력 구조에 맞서는 운동에 의해 고립에서 벗어…
더보기지은이 소개
필립 마플릿 Philip Marfleet 50년 넘게 팔레스타인 연대 운동에 활발하게 참여했다. 이집트와 영국의 대학에서 연구하며 중동의 대중투쟁에 관해 많은 글을 썼다. 1980년대와 1990년대에는 자신과 관계 맺은 이집트 활동가들이 국가 탄압을 받을까 봐 우려해 필 마셜이라는 필명을 사용했다. 지은 책으로는 《이집트: 각축장이 된 혁명Egypt ─ C…
더보기옮긴이 소개
이정구 2009년 경상대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고, 이론지 《마르크스21》의 편집자였다. 지은 책으로는 《MMT 논쟁》(진인진, 공저), 《왜 우리는 더 불평등해지는가》(바다출판사, 공저)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강탈국가 이스라엘》(책갈피), 《좀비 자본주의》(책갈피), 《중국경제》(서울경제경영) 등이 있으며, 엮은 책으로는 《알렉스 캘리니코스의…
더보기
책갈피 뉴스레터 <이달의 갈피>를 구독하세요!
독자들에게 제때 알맞은 책을 소개하는 알찬 정보를 담아 매달 발송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