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정 증보판 마르크스주의에서 본 영국 노동당의 역사 창당부터 코빈의 부상과 좌절까지 The Labour Party: A Marxist History
2015년에 영국 노동당 좌파인 제러미 코빈이 당 대표로 선출되자 급진적 변화를 바라는 많은 사람이 희망에 부풀었고 한국의 많은 진보∙좌파도 코빈을 응원했다. 그러나 대다수 노동당 국회의원과 당내 우파는 코빈을 한사코 반대했다. 이들은 2019년 총선에서 노동당이 패배하자 코빈을 대표직에서 사임시키더니 급기야 코빈이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점령을 비판한다는 이유로 반유대주의자로 몰아 당원 자격을 정지시켰다. 안타깝게도 코빈을 포함한 노동당 좌파는 대중을 동원해 이 세력에 맞서기보다 거듭 타협하고 후퇴했다.
노동자 정당을 통한 사회 변화를 꿈꾸던 많은 사람이 이런 경험으로 사기 저하하지 않으려면, 과거의 경험에서 교훈을 배우고 개혁주의의 본질을 더 깊이 이해해야 한다. 이 책은 노동당의 탄생부터 코빈의 부상과 좌절까지 120년의 역사를 돌아보며 오늘날 노동계급이 자본주의와 우파에 맞서 승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책 소개
체제에 대한 환멸 자본주의 체제에 대한 환멸이 커지고 있다. 갈수록 심해지는 경제 위기, 심각한 사회∙정치 양극화, 기후∙생태∙보건 위기를 낳는 자본주의 특유의 모순 때문이다. 2010년 미국의 18~29세 인구 가운데 자본주의를 긍정적으로 본다고 답한 사람이 68퍼센트였던 반면, 2018년에는 겨우 45퍼센트만이 그렇게 답했다(사회주의를 긍정적으로 본다고…
더보기차례
감사의 말 연표 영국의 정치제도 2018년판 머리말 2008년 한국어판 머리말 1장 개혁주의의 탄생 2장 ‘노총이 배출한’ 노동당 3장 전쟁과 재건: 노동당이 사회주의를 채택하다 4장 전후의 난국을 돌파하기 5장 ‘수권 정당’임을 입증하기: 1924년의 연립정부 6장 혁명이냐 개혁이냐: 1920년대의 좌파 7장 총파업과 그 여파 8장 개혁주의자들과 경기…
더보기본문 중에서
p 61~62 1895년에는 노동자 정당에 대한 희망이 모두 사라진 듯했다. 그러나 5년 뒤 노총은 노동자 정당을 건설했다. 이런 극적인 변화의 계기는 무엇인가? 그 답은 지배계급의 공격이었다. 1889년에는 능동적으로 움직였던 현장 조합원들이 이제 관료들의 행동을 가만히 지켜보기만 했다. … 노동당은 노총 관료들의 책략의 산물이었고 계급투쟁이 후퇴한 결과…
더보기지은이 소개
토니 클리프(Tony Cliff) 팔레스타인 출신의 혁명적 사회주의자. 이 책에도 등장하는 영국 사회주의노동자당(SWP)을 창립했다. 소련과 동유럽을 깊이 연구한 후 이 사회들이 사회주의가 아니라 국가자본주의라고 주장하며 “워싱턴도 모스크바도 아닌 국제사회주의”를 대안으로 제시했다. 국내에 번역된 저서는 《레닌 평전 1~4》, 《트로츠키 1927~1940》…
더보기옮긴이 소개
이수현 고려대학교 법대를 졸업했고 프리랜서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카를 마르크스의 혁명적 사상》, 《세계를 뒤흔든 1968》, 《레닌과 21세기》, 《레닌 평전 2~4》, 《트로츠키 1927~1940》, 《파시즘, 스탈린주의, 공동전선》 등 수십 권을 번역했다.
더보기
책갈피 뉴스레터 <이달의 갈피>를 구독하세요!
독자들에게 제때 알맞은 책을 소개하는 알찬 정보를 담아 매달 발송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