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한국 현대사 해방부터 문재인 정부까지 역사유물론으로 보기

김동철, 김문성 지음 2020-07-31 640쪽 28,000원 신국판 9788979661880 책갈피

착취와 차별에 맞서 싸운 역사

해방부터 코로나19까지 한 권에

한국 현대사의 큰 분기점인 1987년 이후 벌써 30년이 넘게 흘렀다. 그 30여 년을 두고 치열한 “역사 전쟁”이 벌어진다. 우파는 자신들의 대한민국을 차지하기 위해 역사 왜곡을 서슴지 않는다. 중도파는 우파의 재집권을 견제하려고 괜한 공포심을 부추기며 나름으로 역사를 왜곡한다. 김대중∙노무현 정부가 10년간 집권하며 진보 염원을 배신한 것을 죄다 보수 우파의 훼방 탓으로 돌리고 좌파와 노동운동에 자제를 강요하면서 말이다. 특히 젊은 세대가 당시 역사에 익숙하지 않은 것을 교묘히 이용한다. 이 책이 들려주는 최근 역사와 투쟁의 경험은 중도파의 역사 왜곡에 대한 좋은 해독제가 될 것이다.

우리는 권력자들이 세상을 움직인다고 배운다. 돈 있고 힘 있는 사람들의 행위가 영향력이 크다는 것은 사실이다. 그렇지만 그들의 결단과 언행을 아는 것만으로는 크게 부족하다. 권력자들의 의지가 언제나 관철되는 것도 아니고, 그들의 결심이 이리저리 바뀌기도 한다. 카를 마르크스는 “인류의 역사는 계급투쟁의 역사”라고 했다. 계급투쟁이 만들어 낸 변화는 이후 시기에 무엇을 할 수 있는지와 무엇을 하기 힘든지를 규정한다. 독자들은 역사의 진정한 동력인 계급투쟁의 관점에서 한국 현대사를 다룬 이 책을 읽으면서 돈 없고 힘 없는 사람들이 어떻게 역사를 만들어 왔는지 알게 될 것이다.

책 구입하러 가기>>
알라딘예스24인터넷교보인터파크인터넷영풍문고리디북스

책 소개

과거가 어떻게 오늘의 세계를 만들었는지 알 수 있다면, 미래를 바꿀 지금의 실천에 틀림없이 도움이 될 것이다. 당대의 지배 질서에 도전해 성공한 경험들은 더욱 그럴 것이다. 그래서 오늘의 세계에 강한 불만을 느끼는 이들은 역사에서 배워야 한다. 경제 위기와 기후 위기 때문에 부모님이나 이모·삼촌의 20대 시절보다 삶이 더 어두워졌다고 여기는 지금 청년들에게…

더보기

차례

머리말 1장 해방 정국, 새 사회를 향한 뜨거운 염원과 좌절 2장 한국전쟁, 제국주의 경쟁이 낳은 비극 3장 4월혁명, 독재자를 타도하다 4장 박정희 정권과 유신, 그에 맞선 5장 광주항쟁, 한 세대의 영혼을 울리다 6장 1987년 6월항쟁과 7~9월 노동자 대투쟁 7장 1997년 대중 파업과 IMF 경제공황 8장 1990년대 후반 이후 역사를 이해하는 틀…

더보기

본문 중에서

p 12~13 이 책은 자본주의 경쟁 질서와 자본주의적 계급 관계가 사회 변화의 동인이라고 설명한다. 이것은 따분하고 고답적인 과정이 아니다. 역사유물론으로 설명하는 역사는 살아 숨 쉬는 인간들이 사회구조 속에서 자신에게 부여된 힘과 이해관계를 발견해 발휘하거나 그런 해방의 과정이 가로막히는 구체적이고 생생한 투쟁이다. p 21 해방 정국을 이해하는 출발점…

더보기

지은이 소개

김동철 《마르크스주의로 본 한국 현대사》(책갈피, 2018)와 《새 세대를 위한 3·1운동사: 고전 마르크스주의의 시각》(노동자연대, 2019)의 공저자다. 격월간 잡지 《마르크스21》과 반자본주의 주간신문 〈노동자 연대〉에 한국사 관련 논문과 기사를 꾸준히 기고하고 있고, 대학생 등을 대상으로 한국 근현대사 강연을 하고 있다.   김문성 반자본주의 주간신…

더보기

책갈피 뉴스레터 <이달의 갈피>를 구독하세요!
독자들에게 제때 알맞은 책을 소개하는 알찬 정보를 담아 매달 발송됩니다.

댓글은 닫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