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갈피 아카데미 총서 7 알렉스 캘리니코스의 자본론 행간 읽기 《자본론》의 배경이 된 사상 Deciphering Capital: Marx’s Capital and its destiny
책씨앗 - 좋은책고르기 2020년 8월 매체 주목도서
마르크스의 《자본론》이 돌아왔다. 원래 있어야 할 곳, 즉 마르크스주의에 대한 논쟁과 오늘날의 세계를 이해하려는 마르크스주의자들의 노력 한복판으로 말이다.
1990년대 이후 급진적 운동이 등장하고 2008년 경제 위기가 터지면서 마르크스주의의 정치경제학 비판에 대한 관심이 매우 커졌다. 《알렉스 캘리니코스의 자본론 행간 읽기》는 이런 논의에 크게 기여하는 책이다. 캘리니코스는 마르크스가 《자본론》에서 사용한 방법, 헤겔과 리카도에게 배우고 또 극복한 점, 가치론 논쟁, 《자본론》에서 노동이 차지하는 위치, 경제 위기론을 살펴본다. 또 그람시와 알튀세르부터 데이비드 하비와 프레드릭 제임슨에 이르는 과거와 현재의 마르크스주의 사상가들도 다룬다.
차례
머리말
인용문 출처 안내
들어가며
《자본론》의 귀환
관계들의 문제
마르크스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
1장 구성
마르크스 문제
희생양
길고 구불구불한 길
어떤 의미에서 《자본론》은 미완성인가?
2장 방법 1: 리카도
《자본론》의 논리
마르크스의 문제 상황
교착상태에 빠진 리카도의 가치론
리카도, 헤겔, 스피노자
3장 방법 2: 헤겔
헤겔 문제
추상에서 구체로 상승하기
경쟁, 현상, 과학
4장 가치
어디에서 시작할 것인가?
가치형태와 화폐
생산과 교환
5장 노동
산 노동과 자본
임금노동을 하찮게 취급하기
자본의 가짜 주체성
노동의 주체성
6장 경제 위기
경제 위기와 혁명
경제 위기의 차원들
경제 위기를 넘어서?
7장 오늘날
《자본론》의 현대성
자본의 관계성
맺음말
부록: 알튀세르 ─ 관계를 통한 우회
후주
찾아보기
책갈피 뉴스레터 <이달의 갈피>를 구독하세요!
독자들에게 제때 알맞은 책을 소개하는 알찬 정보를 담아 매달 발송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