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경제와 제국주의 Мировое хозяйство и империализм
미-중 갈등의 격화로 동아시아 정세가 요동치는 오늘날 진정한 평화를 바라는 한국의 독자들에게 꼭 필요한 책이 나왔다. 100여 년 전 러시아 혁명가 니콜라이 부하린이 제1차세계대전의 포화 속에서 쓴 이 책 《세계경제와 제국주의》는 개별 기업 사이의 경제적 경쟁이 어떻게 국민국가 사이의 정치적∙군사적 경쟁으로 발전해 왔는지 보여 준다.
이 책은 고전적 마르크스주의 제국주의 이론의 가장 중요한 문헌으로 손꼽히며 레닌의 《제국주의, 자본주의의 최신 단계》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도 유명하다. 이 책의 출간을 계기로 레닌과 부하린 같은 고전적 마르크스주의자들의 제국주의 이론에 대한 오해와 왜곡도 바로잡힐 수 있을 것이다.
책 소개
1987년 《제국주의론》(김정로 엮음)이라는 책이 출판된 적이 있다. 군부독재의 검열을 피하려고 가명의 엮은이를 내세운 이 책의 실제 지은이는 러시아 혁명가 니콜라이 부하린이었고 본래 제목은 《세계경제와 제국주의》였다. 이 책이 30여 년 만에 원래 제목과 지은이를 되찾았다. 니콜라이 부하린(1888~1938)은 1917년 러시아 혁명을 이끈 볼셰비키 지…
더보기추천사
니콜라이 부하린이 이 책에서 다룬 주제가 중요하고 시의적절함은 특별히 설명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제국주의 문제는 … 최근의 자본주의 형태 변화를 연구하는 경제학 영역에서 가장 본질적인 문제라고 할 수 있다. 경제는 물론 현대 사회생활의 여러 분야에 관심을 두는 모든 사람은 이런 제국주의 문제와 관련된 … 사실들을 반드시 알아야 한다. — 블라디미르 레닌 …
더보기차례
레닌의 서문 머리말 1부 세계경제와 자본의 국제화 과정 1장 세계경제에 대한 정의 2장 세계경제의 성장 3장 세계경제의 조직 형태 2부 세계경제와 자본의 국가화 과정 4장 ‘국민경제’의 내부 구조와 관세정책 5장 세계 판매 시장과 판매 조건의 변화 6장 세계 원료 시장과 원료 구입 조건의 변화 7장 자본의 국제적 운동과 국제 관계의 경제적 형태 변화 8장 …
더보기본문 중에서
개별 기업 간 경제적 경쟁에서 국민국가 간 지정학적 경쟁으로 기업의 개인소유 형태가 일반적일 때는 개별 자본가들이 경쟁하며 서로 대립했다. ‘국민경제’와 ‘세계경제’는 비교적 소규모 단위인 이들의 총합에 불과했다. 이 단위들은 교환을 통해 서로 연결돼 있었고, 이들 사이의 경쟁은 대체로 ‘국민적’ 틀 안에서 벌어졌다. 집중의 과정은 대자본가의 소자본가 흡…
더보기지은이 소개
니콜라이 부하린 (Николaй Ивaнович Бухарин, 1888 ~ 1938) 1917년 러시아 혁명을 이끈 볼셰비키 지도자이자 경제 이론가. 16살에 혁명운동에 뛰어들었고, 1906년 볼셰비키에 입당했다. 1915년 27살의 나이에 망명지에서 이 책 《세계경제와 제국주의》를 썼다. 이 책은 레닌의 《제국주의, 자본주의의 최신 단계》에 큰 영향을 …
더보기옮긴이 소개
최미선 노동자연대 활동가로 한신대학교 국제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일본학과를 수료했다. 이화여자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 통역학과(한일전공)를 졸업했으며 전문 통번역사로 활동하고 있다.
더보기
책갈피 뉴스레터 <이달의 갈피>를 구독하세요!
독자들에게 제때 알맞은 책을 소개하는 알찬 정보를 담아 매달 발송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