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 보관함
- 2022년 8월
- 2022년 7월
- 2022년 6월
- 2022년 5월
- 2022년 4월
- 2022년 3월
- 2022년 2월
- 2022년 1월
- 2021년 12월
- 2021년 11월
- 2021년 10월
- 2021년 9월
- 2021년 8월
- 2021년 7월
- 2021년 4월
- 2021년 3월
- 2021년 2월
- 2021년 1월
- 2020년 12월
- 2020년 11월
- 2020년 9월
- 2020년 7월
- 2020년 6월
- 2020년 4월
- 2020년 3월
- 2020년 2월
- 2020년 1월
- 2019년 12월
- 2019년 11월
- 2019년 10월
- 2019년 9월
- 2019년 8월
- 2019년 7월
- 2019년 5월
- 2019년 4월
- 2019년 1월
- 2018년 12월
- 2018년 11월
- 2018년 10월
- 2018년 9월
- 2018년 8월
- 2018년 7월
- 2018년 5월
- 2018년 4월
- 2018년 3월
- 2018년 2월
- 2018년 1월
- 2017년 11월
- 2017년 10월
- 2017년 9월
- 2017년 8월
- 2017년 7월
- 2017년 5월
- 2017년 4월
- 2017년 3월
- 2016년 9월
- 2016년 7월
- 2016년 3월
- 2016년 2월
- 2015년 12월
- 2015년 10월
- 2015년 6월
- 2015년 5월
- 2015년 2월
- 2014년 10월
- 2014년 8월
- 2014년 7월
- 2014년 4월
- 2014년 3월
- 2013년 12월
- 2013년 11월
- 2013년 7월
- 2013년 6월
- 2013년 4월
- 2012년 11월
- 2012년 9월
- 2012년 8월
- 2012년 7월
- 2012년 6월
- 2012년 5월
- 2012년 1월
- 2011년 12월
- 2011년 11월
- 2011년 10월
- 2011년 8월
- 2011년 7월
- 2011년 4월
- 2011년 3월
- 2011년 2월
- 2011년 1월
- 2010년 9월
- 2010년 8월
- 2010년 7월
- 2010년 6월
- 2010년 3월
- 2009년 12월
- 2009년 11월
- 2009년 8월
- 2009년 7월
- 2009년 5월
- 2009년 3월
- 2008년 12월
- 2008년 8월
- 2008년 4월
- 2008년 1월
- 2007년 12월
- 2007년 7월
- 2007년 3월
- 2006년 8월
- 2006년 7월
- 2005년 11월
- 2005년 8월
- 2005년 5월
- 2005년 1월
- 2004년 11월
- 2004년 7월
- 2004년 5월
- 2004년 2월
- 2004년 1월
- 2003년 12월
- 2003년 11월
- 2003년 8월
- 2003년 7월
- 2003년 4월
- 2003년 3월
- 2002년 12월
- 2002년 10월
- 2002년 9월
- 2002년 8월
- 2002년 7월
- 2002년 6월
- 2002년 4월
- 2002년 2월
- 2002년 1월
- 2001년 11월
- 2001년 9월
- 2001년 7월
- 2001년 6월
- 2001년 4월
- 2001년 2월
- 2000년 12월
- 2000년 10월
- 2000년 9월
- 2000년 4월
- 1998년 1월
- 1996년 9월
- 1996년 5월
- 1995년 11월
- 1995년 8월
- 1994년 9월
- 1994년 4월
- 1994년 3월
- 1993년 11월
- 1993년 10월
- 1993년 9월
- 1993년 3월
- 1992년 4월
-
그 밖의 기능
서평 신간 서평 《세월호 참사, 자본주의와 국가를 묻다》
마르크스주의 관점으로 세월호 운동을 기록하고 분석한 책
출처: <노동자 연대>
《세월호 참사, 자본주의와 국가를 묻다》…는 세월호 참사의 원인과 이에 대한 대안을 마르크스주의로 쉽고 명쾌하게 분석·주장했다. 신자유주의는 왜 등장했는지, 선진국인 미국·독일·영국·일본 등지에서도 어처구니 없는 대형 참사가 왜 반복되는지, 참사 대응에서 국가가 보인 무능과 부패는 왜 한국만의 문제가 아닌지 등을 체계적으로 설명한 책이다.
무엇보다 저자인 김승주는 세월호 참사가 벌어진 후 동료 학생, 활동가들과 대학과 거리에서 세월호 운동을 건설하기 위해 애쓴 ‘세월호 세대’이자, 세월호 운동의 주요 고비마다 운동의 전진을 위해 의견을 내놓은 혁명적 좌파 활동가다. 그래서 세월호 운동 안에서 벌어진 주요 논쟁들과 개혁주의자들의 전략·전술의 문제점 등도 다룬다. 이 책의 가장 큰 장점이다.
[신간]
출처: <매일경제>
세월호 참사를 자본주의의 내적 모순과 연관 지으며 자본주의 비판 사상인 마르크스주의로 분석한 책.
이 참사에서 국가가 보인 황당한 무능과 관료주의를 단지 우연한 실수나 음모가 아니라 자본주의 국가의 근본적인 계급적 성격에서 비롯한 것으로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