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랜스젠더 차별과 해방
오늘날 트랜스젠더는 심한 낙인과 차별에 시달리는 집단이다. 트랜스젠더 혐오는 원치 않는 관심에서 모욕적인 말로 괴롭히기, 고용과 보건/교육 등 사회 서비스상의 차별, 물리적 폭력, 성폭력, 살인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이런 현실 때문에 트랜스젠더의 자살률은 매우 높다. 그러나 트랜스젠더 차별에 대한 저항도 세계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이 책은 트랜스젠더 차별이 언제, 왜 등장했는지 살펴보고 어떻게 차별을 없앨 수 있는지 대안을 제시한다. 또한 트랜스젠더 차별의 현실을 무시하면서 트랜스젠더를 배제하려는 일부 사람들의 논리를 조목조목 반박하면서 왜 트랜스젠더의 권리를 지지해야 하는지를 분명하게 주장한다.
책 소개
오늘날 트랜스젠더는 심한 낙인과 차별에 시달리는 집단이다. 트랜스젠더 혐오는 원치 않는 관심에서 모욕적인 말로 괴롭히기, 고용과 보건/교육 등 사회 서비스상의 차별, 물리적 폭력, 성폭력, 살인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한국의 트랜스젠더 법적 권리 보장은 미국, 영국 등보다 열악하다. 성별 정정 기준이 매우 까다롭고, 성별 전환 비용은 건강보험이 전혀 적용되…
더보기차례
엮은이 머리말 용어 설명 1부 트랜스젠더 차별과 저항 트랜스젠더 해방을 위한 투쟁 _ 로라 마일스 트랜스젠더 차별과 저항 _ 로라 마일스 영국 교원노조가 트랜스젠더 권리를 옹호하다 _ 마이클 댄스 2부 트랜스젠더의 권리를 둘러싼 논쟁 한서희-하리수 논쟁: 트랜스젠더 차별과 여성해방 _ 양효영 트랜스젠더의 권리와 여성의 권리는 대립하는가? _ 샐리 캠…
더보기본문 중에서
• 트랜스젠더는 역사 내내 차별받았는가? 원시 무계급 사회에서는 타고난 성별과 다른 성별로 살고 싶은 사람들도 부족에서 인정받았다. 100여 개의 아메리카 원주민 부족에 ‘여자 옷을 입고 여자로 산 남자’가 있었다고 추정된다. 또한 전체 부족의 대략 3분의 1에는 남자 옷을 입고 남자로 산 여성이 있었다. 이런 사회에서는 성별 전환만이 아니라 오늘날 성별…
더보기지은이 소개
로라 마일스 Laura Miles 영국의 트랜스 여성으로 노동조합 활동가이자 마르크스주의자다. 대학 강사 출신으로 대학노조와 영국 사회주의노동자당에서 오랫동안 활동해 왔다. 2015년까지 대학노조 전국집행위원이었는데, 영국 최초로 노동조합 전국집행위원으로 선출된 트랜스젠더였다. 현재는 대학노조 기금 관리 위원으로 전국집행위원회에 참가하고 있다. Pride,…
더보기엮은이 소개
정진희 젠더와계급연구회 상임연구원이다. 사회학 박사이고 한국비정규교수노조 조합원이다. 《낙태, 여성이 선택할 권리》(공저, 노동자연대)를 썼고, 《여성해방과 혁명: 영국혁명부터 현대까지》(공역, 책갈피)를 옮겼고, 《마르크스주의자들의 여성해방론》(책갈피)을 엮었다.
더보기
책갈피 뉴스레터 <이달의 갈피>를 구독하세요!
독자들에게 제때 알맞은 책을 소개하는 알찬 정보를 담아 매달 발송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