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회변혁적 노동조합운동 20세기 초 유럽과 미국의 신디컬리즘 Radical Unionism: The Rise and Fall of Revolutionary Syndicalism
20세기 초 신디컬리즘은 불만 가득한 노동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신디컬리즘은 근본적 사회 변화를 원했고 노동자들이 산업을 완전히 통제하고 관리하는 사회를 만들고자 했다. 그러나 노동조합만이 사회 변화의 수단이라고 생각하고 정당을 거부하는 등 여러 약점을 보이기도 했다.
오늘날 신디컬리즘은 더는 존재하지 않지만 그 영향력은 여전히 남아 있고, 특정 상황에서 신디컬리즘식 사상과 실천은 다시 나타날 가능성이 꽤 높다.
신디컬리즘의 경험을 돌아보며 그 교훈을 오늘날의 노동운동에 적용하는 데 이 책 《사회변혁적 노동조합운동: 20세기 초 유럽과 미국의 신디컬리즘》은 큰 도움을 준다.
책 소개
새로운 세기를 맞이하던 1900년 무렵에 자본은 세계 곳곳을 누비고 다녔다. 모든 곳에서 자본 때문에 삶이 완전히 바뀌었다. 자본가들은 노동과정을 통제하며 노동자들을 가혹하게 착취했고 노동조합은 무조건 탄압했다. 경제적 불안정의 조짐도 나타나 생활수준이 급속히 낮아졌다. 물가는 치솟는데 실질임금은 떨어지고 실업자도 늘어났다. 불만이 쌓인 노동자들은 자신의 …
더보기추천사
“신디컬리즘에 관한 다양한 문헌을 매우 잘 종합한 것이 인상적이다. 그러나 이 책의 진가는 신디컬리즘의 정치를 주제별로 살펴보고 러시아 혁명 이후 공산주의와 신디컬리즘의 격렬한 논쟁을 연구한 것인데, 이것은 오늘날의 노동조합 정치를 이해하고 노동조합운동에 개입하는 데도 많은 도움을 준다.” 《인터내셔널 소셜리즘》 “다양한 측면에서 신디컬리즘을 다룬 매우…
더보기차례
감사의 말 약어표 한국어판 머리말 머리말 1부 신디컬리즘 운동의 동역학 1장 철학과 실천 2장 기원과 성장 3장 구성과 구조 4장 내부 분열 5장 영향과 소멸 2부 신디컬리즘과 공산주의 프롤로그 6장 모스크바의 신디컬리즘 보듬기 7장 노동조합 8장 노조 관료주의 9장 경제와 정치 10장 국가와 혁명 11장 지도와 정당 12장 신디컬리즘과 공산주의의 융합 후…
더보기본문 중에서
• 신디컬리즘의 기원 신디컬리즘 조직의 기원과 발전은 사용자들이 모든 형태의 독립적 노조 조직을 매우 적대시한 데서 비롯했다는 것도 분명하다. 상대적 후진국이던 스페인과 이탈리아의 지주계급은 터무니없이 반동적이었고 농업 노동자를 가혹하게 착취했지만, 그에 못지않게 신흥 자본가계급도 일체의 노조 결성 기도에 격렬하게 반발했다. … 미국의 산업 노동자들은 (주…
더보기지은이 소개
랠프 달링턴 (Ralph Darlington) 영국 샐퍼드대학교 고용관계학 교수다. 노동, 고용, 노사 관계, 노동조합운동을 꾸준히 연구해 왔고 여러 노동조합의 자문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The Dynamics of Workplace Unionism(1994), The Political Trajectory of J T Murphy(1998…
더보기옮긴이 소개
이수현 고려대학교 법대를 졸업했고 프리랜서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 《레닌 평전 2~4》(책갈피), 《세계를 뒤흔든 1968》(책갈피), 《마르크스주의에서 본 영국 노동당의 역사》(책갈피), 《포스트모더니즘: 마르크스주의의 비판》(책갈피) 등 십수 권이 있다.
더보기
책갈피 뉴스레터 <이달의 갈피>를 구독하세요!
독자들에게 제때 알맞은 책을 소개하는 알찬 정보를 담아 매달 발송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