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 보관함
- 2023년 9월
- 2023년 8월
- 2023년 7월
- 2023년 6월
- 2023년 5월
- 2023년 4월
- 2023년 3월
- 2023년 2월
- 2023년 1월
- 2022년 12월
- 2022년 11월
- 2022년 10월
- 2022년 9월
- 2022년 8월
- 2022년 7월
- 2022년 6월
- 2022년 5월
- 2022년 4월
- 2022년 3월
- 2022년 2월
- 2022년 1월
- 2021년 12월
- 2021년 11월
- 2021년 10월
- 2021년 9월
- 2021년 8월
- 2021년 7월
- 2021년 4월
- 2021년 3월
- 2021년 2월
- 2021년 1월
- 2020년 12월
- 2020년 11월
- 2020년 9월
- 2020년 7월
- 2020년 6월
- 2020년 4월
- 2020년 3월
- 2020년 2월
- 2020년 1월
- 2019년 12월
- 2019년 11월
- 2019년 10월
- 2019년 9월
- 2019년 8월
- 2019년 7월
- 2019년 5월
- 2019년 4월
- 2019년 1월
- 2018년 12월
- 2018년 11월
- 2018년 10월
- 2018년 9월
- 2018년 8월
- 2018년 7월
- 2018년 5월
- 2018년 4월
- 2018년 3월
- 2018년 2월
- 2018년 1월
- 2017년 11월
- 2017년 10월
- 2017년 9월
- 2017년 8월
- 2017년 7월
- 2017년 5월
- 2017년 4월
- 2017년 3월
- 2016년 9월
- 2016년 7월
- 2016년 3월
- 2016년 2월
- 2015년 12월
- 2015년 10월
- 2015년 6월
- 2015년 5월
- 2015년 2월
- 2014년 10월
- 2014년 8월
- 2014년 7월
- 2014년 4월
- 2014년 3월
- 2013년 12월
- 2013년 11월
- 2013년 7월
- 2013년 6월
- 2013년 4월
- 2012년 11월
- 2012년 9월
- 2012년 8월
- 2012년 7월
- 2012년 6월
- 2012년 5월
- 2012년 1월
- 2011년 12월
- 2011년 11월
- 2011년 10월
- 2011년 8월
- 2011년 7월
- 2011년 4월
- 2011년 3월
- 2011년 2월
- 2011년 1월
- 2010년 9월
- 2010년 8월
- 2010년 7월
- 2010년 6월
- 2010년 3월
- 2009년 12월
- 2009년 11월
- 2009년 8월
- 2009년 7월
- 2009년 5월
- 2009년 3월
- 2008년 12월
- 2008년 8월
- 2008년 4월
- 2008년 1월
- 2007년 12월
- 2007년 7월
- 2007년 3월
- 2006년 8월
- 2006년 7월
- 2005년 11월
- 2005년 8월
- 2005년 5월
- 2005년 1월
- 2004년 11월
- 2004년 7월
- 2004년 5월
- 2004년 2월
- 2004년 1월
- 2003년 12월
- 2003년 11월
- 2003년 8월
- 2003년 7월
- 2003년 4월
- 2003년 3월
- 2002년 12월
- 2002년 10월
- 2002년 9월
- 2002년 8월
- 2002년 7월
- 2002년 6월
- 2002년 4월
- 2002년 2월
- 2002년 1월
- 2001년 11월
- 2001년 9월
- 2001년 7월
- 2001년 6월
- 2001년 4월
- 2001년 2월
- 2000년 12월
- 2000년 10월
- 2000년 9월
- 2000년 4월
- 1998년 1월
- 1996년 9월
- 1996년 5월
- 1995년 11월
- 1995년 8월
- 1994년 9월
- 1994년 4월
- 1994년 3월
- 1993년 11월
- 1993년 10월
- 1993년 9월
- 1993년 3월
- 1992년 4월
-
그 밖의 기능
서평 신간 서평 《아나키즘: 마르크스주의적 비판》
아나키즘은 왜 매력적이지만 한계가 있는가
출처: <레프트21>
《아나키즘: 마르크스주의적 비판》은 아나키즘에 다양한 매력이 있고, 아나키즘이 인기를 끄는 현상은 운동에 상상력과 열정을 불어넣기 때문에 환영할 만한 발전이라고 주장한다.
그리고 사회 통념에 맞서 아나키즘의 이상을 방어한다. 예를 들어, 사회 통념은 국가가 없으면 ‘만인에 대한 만인의 투쟁’이 벌어져 사람들이 불행해질 거라고 말한다. 이에 대해 존 몰리뉴는 인류가 오랫동안 국가 없는 사회에서 살았고 그런 사회는 혼란스럽기는커녕 질서정연했다고 반박한다.
그러나 존 몰리뉴는 아나키즘에 중대한 결함이 있다고 주장한다. 즉, 아나키즘에는 자본주의 사회를 바꾸고 대안 사회를 건설할 진지한 전략이 없다는 것이다. …
아나키즘의 숭고한 열정에 깔린 ‘맹점’
출처: <한겨레>
이 책은 노동계급이 주도하는 연속혁명(영구혁명)론에 입각해서 역사 속 아나키즘과 오늘날의 여러 아나키즘 조류를 비판적으로 개괄한다. 지은이가 보기에, 아나키즘과 마르크스주의는 계급 없는 자유로운 사회를 꿈꾼다는 점에서 목표가 같지만, 아나키즘은 국가·지도부·정치조직을 거부한다는 데에 근본 약점이 있다. 또한 그는 ‘아나르코생디칼리슴’, ‘공산주의적 아나키즘’ 같은 극히 일부 경향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아나키즘은 노동계급 개념을 부정함으로써 실제로 현실을 변화시킬 수 있는 사회세력(노동계급)과 단절하거나 ‘다중’, ‘프레카리아트’(비정규직 등 불안정 노동자) 같은 개념으로 노동계급을 대체하려 한다고 비판한다. …
아나키즘 마르크스주의적 비판, 왜 마르크스주의가 필요한가
출처: <민중의 소리>
아나키즘의 장점과 약점을 파헤치면서 평등하고 계급 없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왜 마르크스주의가 중요한지 연구한 책, ‘아나키즘:마르크스주의적 비판’이 출간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