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의 말
머리말
1장 스탈린이 강제 집산화를 시작하다
소련이 심각한 경제적·사회적 위기에 빠지다 | 1928년 7월 중앙위원회 총회 | 그러나 실패는 계속되고 … | 강제 노동 | 맺음말
2장 공업화의 강행군
3장 5개년계획에 대한 트로츠키의 반응
당내 좌파·중도파·우파의 세력 관계에 대한 트로츠키의 견해 | 왜 트로츠키의 예측은 틀렸는가 | 집산화·공업화 드라이브에 대한 트로츠키의 태도 | 스탈린의 경제 운영을 날카롭게 비판하는 트로츠키 | 샤흐티 재판, ‘산업당’ 재판, ‘멘셰비키 중앙’ 재판 | 모순에 빠지다
4장 소련의 트로츠키주의자들
노동자들 사이에서 적극적으로 활동한 트로츠키주의자들 | 좌익반대파의 심각한 위기 | 감옥과 격리소의 트로츠키주의자들 | 흥미로운 에피소드 | 급속히 확산하는 투항 | 트로츠키주의 진영의 이데올로기적 분열 | 혁명의 깃발 휘날리기
5장 나치에 반대하는 투쟁
‘제3기’에 관한 트로츠키의 견해 | 트로츠키와 ‘제3기’ | ‘붉은 주민투표’ | 국가사회주의란 무엇인가? | 폭풍 전의 고요 | 1933년 1월 30일 이후 | 히틀러가 승리한 후의 트로츠키
6장 독일의 트로츠키주의 운동
우익반대파: KPO | 레닌동맹 | 트로츠키주의를 가로막은 셋째 장애물: SAP | 트로츠키주의의 영향을 받지 않은 독일 공산당 | 상시적 위기에 시달린 독일 트로츠키주의 조직 | 트로츠키주의 운동에서 스탈린의 첩자들이 한 구실 | 독일 트로츠키주의자들의 기본적 약점 | 맺음말
7장 러시아 혁명의 역사가 트로츠키
8장 새로운 인터내셔널을 향한 첫걸음
고립 상태에서 벗어나려는 노력 | “4조직 선언문” | 희망이 잿더미로 바뀌다 | 우경화하는 중간주의자들 | 런던사무국으로 이끌린 트로츠키주의자들
9장 트로츠키와 프랑스 민중전선
민중전선의 성공 | 혁명적 파업들 | 공산당의 엄청난 성장 | 6월 사건에 대한 트로츠키의 반응 | 투쟁 물결이 잠잠해지다 | 트로츠키가 민중전선의 대차대조표를 작성하다
10장 프랑스의 트로츠키주의자들
혁명적 대중투쟁의 고양 | 1936년 6월 시기의 트로츠키주의자들 | ‘프랑스 전환’에 대한 보충 설명
11장 트로츠키와 스페인 혁명
트로츠키가 옳았음이 입증되다 | 스페인의 트로츠키주의 조직 | 민중전선의 선거 승리에서 파시스트들의 반란으로 | 파시스트들의 반란 | 이중[이원]권력의 탄생 | 민중전선의 치명적 구실 | 노동자 권력의 청산 | 5월 사태 | 5월 사태에 대한 트로츠키의 평가 | 반혁명이 더 나아가다
12장 왜 제4인터내셔널은 성장하지 못했는가?
트로츠키의 낙관론 | “전환(기) 강령” | 조직적 조치들 | 트로츠키에게 선택의 여지가 있었는가?
13장 《배반당한 혁명》
사회주의를 옹호하며 | ‘변질된 노동자 국가’ 이론 | 트로츠키의 견해에 대한 비판 | 소련이 노동자 국가라는 정의와 마르크스주의 국가론 | 생산관계와 분리시켜 살펴본 소유 형태: 형이상학적 추상 | 소련 관료 집단: 분배 과정에서 나타나는 경찰? | 국가자본주의가 돼 버린 소련 스탈린 체제 | 소련이 노동자 국가라는 정의와 스탈린의 위성국들 | 왜 트로츠키는 소련이 노동자 국가라는 이론을 거부하지 못했는가? | 스탈린 체제의 대단원을 향해 | 스탈린 체제 부검
14장 악몽: 모스크바 재판과 대숙청
키로프 암살 | 1936년 8월의 조작된 재판 | 재판의 불합리성 | 뒤따른 모스크바 재판들 | 군 장성 재판 | 21인 재판 | 볼셰비키 선임 당원들의 제거 | 잔혹한 숙청의 역사적 구실 | 쏟아지는 중상모략에 맞서 싸우는 트로츠키 | 숙청에 희생된 트로츠키 가족
15장 제2차세계대전이 시작되다
제4인터내셔널 본부가 미국으로 옮겨 가다 | 불굴의 용기 | 트로츠키의 죽음 | 유산
후주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