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시사회의 동성 관계
서구의 인류학자들이 버다치라고 부르는 사람들은 비교적 최근까지 존재한 북아메리카 원주민 집단에서 찾아볼 수 있었다. 아메리카 서쪽의 한 부족에서는 이성異性이 하는 일을 선호하는 젊은 남성이나 여성이 족장의 허락을 받아 그 젠더에 들어갈 수 있었고 생물학적 성보다는 후천적 젠더에 따라 ‘여성’ 또는 ‘남성’의 사회적·경제적 의무를 수행했다. 그들은 이런 젠더에 맞춰 남편이나 아내를 얻었고 사회적 비난을 받지 않고 자유롭게 성적 관계를 맺을 수 있었다. … 수단 남부의 아잔데족에서는 군대나 집단 노역에 종사하는 10대 후반에서 20대 후반에 이르는 청년들이 ‘남자 아내’와 결혼해 지내다가 각자 가정을 꾸리러 떠나곤 했다. 호주의 아란다족에서는 아직 결혼할 여성을 찾지 못한 남성은 10~12살짜리 소년 애인을 구했다. … 계급이 존재하지 않던 사회에는 동성관계를 자연스럽게 여긴 사례가 무수히 많았다.
• 성과 산업화
자본주의는 여러 이유에서 가족 단위로 조직된 남성, 여성, 아동의 노동력이 필요했고 이 사실은 산업혁명의 비교적 초기부터 분명히 드러났다. 노동력을 재생산해서 훈련하고 공장 규율을 가르치는 것, ‘가족 부양의무’를 통해 반항적인 노동자를 고분고분하게 길들이는 것, 각자도생과 개인주의 같은 자본주의 사상을 유지하는 것 등 가족이 필요한 이유는 다양했다. 여성과 아동의 임금이 남성보다 낮다는 사실도 새로운 산업자본가에게는 이득이었다. … 19세기 중반 성에 대한 태도는 사회 혼란과 혁명을 우려한 지배계급과 중간계급의 두려움과 밀접하게 연결된 것이었다. … 이런 모든 일이 어떻게 동성애라는 새로운 개념의 등장으로 연결된 것일까? 산업화가 가져온 가족의 변화에 대한 세 가지 서로 연관된 반응이 어떻게 이런 방향으로 이어졌는지 살펴보겠다. 그 세 가지 반응은 첫째, 일터와 가정을 ‘분리된 영역’으로 간주하는 것이 남녀의 성 역할에 미친 영향이고, 둘째, 성 과학과 ‘사생활’이라는 새로운 개념이 등장한 것이고, 셋째(마지막이라고 해서 덜 중요한 건 결코 아니다), 억압적인 통제 조처가 취해진 것이다.
• 자본주의가 문제고 혁명이 대안이다
1917년 10월 혁명 이후 레닌과 트로츠키가 지도하는 볼셰비키가 혁명정부를 이끌었다. 권력을 잡은 지 몇 주만에 볼셰비키는 결혼과 성행위에 관한 낡은 법률을 폐기했다. 동성애는 합법이 됐고 이혼도 쉬워졌다. 1920년에 낙태도 합법화해 누구든 원하면 무료로 낙태를 할 수 있었다. … 볼셰비키는 또한 여성과 동성애자 억압의 근본 원인인 가족제도를 없애고자 했다. 트로츠키는 집안에서 여성이 수행하는 다양한 기능을 사회가 책임져야 하고 오직 그럴 때만 비로소 남성과 여성이 서로 평등한 관계를 맺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 노동자 혁명이 진보적 사상을 억압해 온 자본주의 체제를 완전히 무너뜨렸기 때문에 환상적일 만큼 진보적인 사상이 번성했고 짧은 기간이나마 실행됐다. 러시아에서 동성애자들은 자유를 얻기 위해 지배자들에게 굽실거리지 않았다. 그들은 노동자 투쟁에 참여했고 스스로 자유를 쟁취했다.
• 동성애자 해방운동의 역사
1984~1985년의 광원 파업은 동성애자와 노동자의 연대가 어떻게 형성될 수 있는지를 보여 줬기 때문에 특별히 언급할 만하다. 파업은 패배했지만, 광원 파업에서 노동자가 보여 준 단호함과 용기는 노동자가 더 나은 세계를 만들 수 있다고 믿는 사람들을 고무했다. 파업 전 많은 광산 지역에는 동성애 혐오와 여성 차별이 만연했다. 그러나 1년 동안 끈질기게 싸우는 과정에서 이런 편견이 깨졌다. 광원들을 지지하는 데 적극 참여한 여성과 동성애자들 덕분이었다. … 광원들은 동성애자들이 보내 준 연대에 화답했다. 광원 대표단이 1985년 자긍심 행진의 선두에 섰고 전국광원노조 대의원들은 1985년 영국 노총과 노동당 대회에서 동성애자 권리를 지지하는 정책을 채택하도록 압력을 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