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성과 마르크스주의 Sex, Class and Socialism
20세기를 지나면서 여성의 삶은 크게 달라졌다. 한국에서도 급속한 공업화가 사람들의 생활과 사고방식을 바꿔 놓았다. 오늘날 여성의 80퍼센트가 대학에 간다.
그러나 여성해방은 아직 요원하다. 유엔보고서에 따르면 여성은 여전히 남성보다 25~50퍼센트 적은 임금을 받으며, 여성 노동자의 94퍼센트가 비정규직이다. 최근의 이랜드-뉴코아 파업도 열악한 노동 환경과 해고에 처한 여성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파업이다. 그리고 가난 때문에 전 세계 도시 여성 열 명 중 한 명이 살면서 성 매매 경험을 한다.
집에 돌아와서는 여전히 육아와 집안일에 시달린다. 한국은 여전히 여성이 가사를 전담하는 경우가 압도적(91.4퍼센트)이고, 국공립 보육 시설이 전체의 6.7퍼센트밖에 안 된다. 영국도 복지 제도가 후퇴해 자녀 양육비의 93퍼센트를 부모가 떠맡는다.
게다가 언제나 더 날씬하고 더 예쁘게 보여야 한다는 압력을 받는다. 한국 여성의 68퍼센트는 외모가 인생의 성패를 좌우한다고 생각하며, 74.5퍼센트가 성형수술을 고민한다. 정상 체중 여성의 83퍼센트가 자신이 뚱뚱하다고 생각한다.
도대체 왜 이러한 여성 억압은 사라지지 않을까?
책 소개
20세기를 지나면서 여성의 삶은 크게 달라졌다. 한국에서도 급속한 공업화가 사람들의 생활과 사고방식을 바꿔 놓았다. 오늘날 여성의 80퍼센트가 대학에 간다. 그러나 여성해방은 아직 요원하다. 유엔보고서에 따르면 여성은 여전히 남성보다 25~50퍼센트 적은 임금을 받으며, 여성 노동자의 94퍼센트가 비정규직이다. 최근의 이랜드-뉴코아 파업도 열악한 노동 환경…
더보기차례
한국의 독자들에게 감사의 말 머리말 PART 1 변화하는 가족 01 자본주의와 가족 02 오늘날의 가족 03 가족 이론 PART 2 여성과 노동 04 성별 분업 05 여성과 산업예비군 06 여성과 노동조합 PART 3 해방을 위한 투쟁 07 여성, 노동당, 선거권 08 1960년대 후반의 여성운동 09 여성운동의 쇠퇴 10 좌파와 여성운동 11 여성해방을 …
더보기본문 중에서
여성 억압은 어디에서 비롯했는가? 우리는 억압이 존재하는 이유에 대한 명확한 분석을 발전시켜야 한다. 그것의 핵심은 계급사회의 존재다. 엥겔스의 저작은 계급사회의 발전과 “여성의 세계사적 패배”를 명쾌하게 연결한다. 그의 책 제목≪가족, 사유재산, 국가의 기원≫은 이 점을 분명하게 드러낸다. 일단 사회가 부의 잉여를 생산하면, 그 잉여에 접근할 수 있는 사…
더보기지은이 소개
린지 저먼 영국 역사상 최대 규모인 2백만 명이 참가한 2003년 반전 시위를 조직한 ‘전쟁저지연합(Stop the War Coalition)’의 사무총장이다. 여성과 아이들의 삶을 파괴하는 전쟁에 반대하는 활동뿐 아니라, 정치 활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2004년 영국 급진좌파 정당 ‘리스펙트(RESPECT)’의 런던 시장 후보였으며, 2005년…
더보기옮긴이 소개
이나라 이 책을 번역한 이나라는 여성, 성소수자, 사회주의자다. 전쟁, 신자유주의, 다양한 억압에 반대해 사회운동에 참가해 왔다. 현재 프리랜서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최근 토니 클리프가 쓴 ≪여성해방과 계급투쟁≫(Class Struggle & Womne’s Liberation)의 번역을 끝내고, 린지 저먼의 최신 저작인 ≪물질적 여자들 : 여성, 남성,…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