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날의 마르크스주의 03 한국 NGO의 사상과 실천 마르크스주의적 분석
동대문구정보화도서관 문고읽기운동본부 2011년 4월 선정 도서
한국 사회에서 가장 신뢰도가 높은 기관이나 단체는 어디일까? 올해 초 <한겨레> 신문에서 발표된 바로는 시민단체가 가장 높았다. 이전에 비해 가장 하락 폭이 컸지만 여전히 21.6퍼센트였다. 이런 높은 신뢰를 받는 NGO가 우리 사회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너무 당연한 일일 것이다. 지난해 촛불시위를 돌아보면 운동의 고비마다 NGO는 중대한 영향 ― 긍정적인 것뿐 아니라 부정적 영향도 ― 을 미쳤다. 또한 사회 변화를 바라는 청년들은 NGO가 제시하는 온건한 개혁 비전에 광범하게 공감하고 있다.
이 책의 지은이는 계간지 ≪마르크스21≫의 편집인인 좌파 활동가다. 한국 사회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NGO의 사상과 실천을 이해해야만 그들과 ‘소통’하고 실천에서 나타나는 문제들에 대응할 수 있다고 생각해 이 책을 썼다. 한국 NGO에 대한 최초의 마르크스주의적 분석서라고 할 수 있겠다.
책 소개
지은이가 지난 10년 동안 이러저러한 연대 운동 단체 안에서 NGO의 주장과 실천을 경험한 것을 바탕으로 쓴 이 책은 한국 NGO에 대한 최초의 마르크스주의적 분석서다. NGO를 체제의 부속물쯤으로 치부하는 일부 좌파들과 달리 지은이는 NGO를 개혁주의의 한 유형으로 파악한다. “NGO는 사회의 근본적 변혁이라는 전망을 상실한 채 자본주의를 민주적으로 개혁…
더보기차례
머리말 1장 한국 시민운동의 등장한국 NGO의 대략적 현황한국 시민운동의 등장 배경 2장 시민사회 개념의 재등장시민, 시민사회, 마르크스시민사회 개념의 재등장과 그 함의˚민주주의 문제˚국가와 시장 문제 3장 한국 NGO의 사상과 그 문제들자유주의적 시민사회론과 경실련진보 진영의 시민사회론 수용시민사회론의 그람시 해석 ― 마르크스주의의 자유주의적 수정˚그람시…
더보기본문 중에서
한국 시민운동의 등장 배경 한국의 시민운동은 1980년대에 유력했던 체제 변혁 지향적 운동이 비현실적이 됐다는 생각을 반영해 1990년대 초부터 급격히 부상한 운동이다. 시민운동의 주요 지식인 가운데 한 명인 김동춘 교수는 “89년 말 경실련의 창립을 필두로 본격화된 한국 시민운동은 …… 한편으로는 체제변혁적·계급투쟁적 운동에 대한 반정립이자 동시에 그것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