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르크스의 자본주의 분석과 성차별, 성폭력
최근 몇 년간 여성 차별 문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크게 증가했다. 이 책은 여성 차별이 자본주의 사회구조와 어떻게 연관돼 있는지를 마르크스의 자본주의 분석에 기초해 설명한다. 특히 페미니즘 일각에서 관심 갖는 섹슈얼리티 문제에 대한 마르크스주의적 분석을 내놓고 있다. 성폭력, 성 상품화 같은 문제를 전체 사회관계와 연관 지어 살펴보며 진정한 성해방을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를 제시한다.
또한 이 책은 여성 차별을 없앨 수 있는 전략 문제도 다룬다. 누구에 맞서 어떻게 싸울 것인지는 매우 중요한 문제다. 이 책은 마르크스가 《자본론》에서 보여 준 통찰이 자본주의에서의 여성 차별을 분석하는 데 얼마나 유용한지를 잘 보여 준다. 여성 차별에 관한 마르크스의 저작을 살펴보는 분석이 드물다는 점에서 이런 분석은 매우 값지다.
책 소개
한국의 여성은 그 어느 때보다 많이 노동시장에 진출해 있고 사회적 지위도 예전보다 높아졌다. 그러나 여성들은 임금 차별과 육아 부담, 직장 내 성희롱, 성 상품화 등 온갖 차별에 노출돼 있다. 많은 사람들이 여성 차별 현실에 분노하고 이런 현실을 바꾸려 한다. 뿌리 깊은 여성 차별을 없애려면 일단 그것의 원인과 작동 방식을 잘 이해해야 한다. 이 책은 여성…
더보기차례
엮은이 머리말 1부 섹슈얼리티와 자본주의 성폭력, 포르노, 자본주의 성매매 논쟁: 성, 소외, 자본주의 아동 성범죄의 근원 2부 여성 차별의 원인과 대안을 둘러싼 논쟁 남성이 여성 차별의 수혜자인가 마르크스와 《자본론》, 그리고 여성 후주 참고 문헌
더보기본문 중에서
• 여성은 언제나 차별받았는가? 초기 인간 사회는 사냥을 하거나 과일이나 풀뿌리를 채취하며 살아가는 소규모 공동체였다. 처음부터 인간은 사회조직에 의존해, 즉 다른 인간과 힘을 합쳐 식량과 주거 공간 등을 확보했다. 다시 말해, 인간은 자급자족하다가 어느 순간 우연한 계기로 사회를 만든 게 아니라 처음부터 사회적 존재였다. … 수렵·채집 사회는 성별 분업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