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나키즘 마르크스주의적 비판 Anarchism: A Marxist Criticism
국가와 권위, 부패한 의회 정치와 제 잇속만 챙기는 정당을 전면 거부하는 아나키즘 사상은 새로이 급진화한 청년들에게 인기가 높다.
그러나 고귀한 이상과 온갖 영웅적 행동에도 불구하고 아나키즘에는 이 사회를 바꾸고 그 이상을 실현할 진지한 전략이 없다.
마르크스주의자인 존 몰리뉴는 국가, 조직, 개인에 대한 아나키즘의 주장을 비판적으로 살펴보고 지난 160년 동안 아나키즘이 운동에서 한 구실을 평가한다. 또 자율주의, 운동 속의 의사 결정, 직접행동 같은 오늘날의 논쟁도 다룬다.
이 책은 아나키스트와 마르크스주의자가 평등하고 계급 없는 사회라는 같은 목표를 추구하지만 이런 사회에 도달하려면 아나키즘이 아니라 마르크스주의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책 소개
아나키즘은 만연한 착취와 불의, 자본주의 국가의 막강한 권력, 지배 이데올로기의 억압적 통제에 맞서 ‘됐거든’ 하고 시원하게 쏘아붙인다. 게다가 많은 사람들은 끔찍한 스탈린 체제를 사회주의로 오해하고, 사회민주주의 정당의 배신을 수도 없이 봤기 때문에 타락하지 않은 이데올로기는 오직 아나키즘뿐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아나키즘: 마르크스주의적 비판》은 아나…
더보기차례
머리말 1장 아나키즘의 매력 2장 아나키즘 사상 국가 지도 정당 개인, 사회, 계급 3장 역사 속의 아나키즘 바쿠닌 러시아 아나키스트의 볼셰비키 비판에 대해 스페인 4장 오늘날의 아나키즘 라이프스타일 아나키즘 자율…
더보기본문 중에서
• 아나키즘은 왜 인기가 있을까? 아나키즘은 만연한 착취와 불의, 자본주의 국가의 막강한 권력, 지배 이데올로기의 억압적 통제에 맞서 ‘됐거든’ 하고 시원하게 쏘아붙인다. 아나키즘은 우리가 이런 식으로 살 필요가 없다고 말한다. 부자와 빈자, 착취자와 피착취자, 지배자와 피지배자 같은 구분이 사라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 대중은 본래 어리석거나 이기적이므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