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 보관함
- 2021년 1월
- 2020년 12월
- 2020년 11월
- 2020년 9월
- 2020년 7월
- 2020년 6월
- 2020년 4월
- 2020년 3월
- 2020년 2월
- 2020년 1월
- 2019년 12월
- 2019년 11월
- 2019년 10월
- 2019년 9월
- 2019년 8월
- 2019년 7월
- 2019년 5월
- 2019년 4월
- 2019년 1월
- 2018년 12월
- 2018년 11월
- 2018년 10월
- 2018년 9월
- 2018년 8월
- 2018년 7월
- 2018년 5월
- 2018년 4월
- 2018년 3월
- 2018년 2월
- 2018년 1월
- 2017년 11월
- 2017년 10월
- 2017년 9월
- 2017년 8월
- 2017년 7월
- 2017년 5월
- 2017년 4월
- 2017년 3월
- 2016년 9월
- 2016년 7월
- 2016년 3월
- 2016년 2월
- 2015년 12월
- 2015년 10월
- 2015년 6월
- 2015년 5월
- 2015년 2월
- 2014년 10월
- 2014년 8월
- 2014년 7월
- 2014년 4월
- 2014년 3월
- 2013년 12월
- 2013년 11월
- 2013년 7월
- 2013년 6월
- 2013년 4월
- 2012년 11월
- 2012년 9월
- 2012년 8월
- 2012년 7월
- 2012년 6월
- 2012년 5월
- 2012년 1월
- 2011년 12월
- 2011년 11월
- 2011년 10월
- 2011년 8월
- 2011년 7월
- 2011년 4월
- 2011년 3월
- 2011년 2월
- 2011년 1월
- 2010년 9월
- 2010년 8월
- 2010년 7월
- 2010년 6월
- 2010년 3월
- 2009년 12월
- 2009년 11월
- 2009년 8월
- 2009년 7월
- 2009년 5월
- 2009년 3월
- 2008년 12월
- 2008년 8월
- 2008년 4월
- 2008년 1월
- 2007년 12월
- 2007년 7월
- 2007년 3월
- 2006년 8월
- 2006년 7월
- 2005년 11월
- 2005년 8월
- 2005년 5월
- 2005년 1월
- 2004년 11월
- 2004년 7월
- 2004년 5월
- 2004년 2월
- 2004년 1월
- 2003년 12월
- 2003년 11월
- 2003년 8월
- 2003년 7월
- 2003년 4월
- 2003년 3월
- 2002년 12월
- 2002년 10월
- 2002년 9월
- 2002년 8월
- 2002년 7월
- 2002년 6월
- 2002년 4월
- 2002년 2월
- 2002년 1월
- 2001년 11월
- 2001년 9월
- 2001년 7월
- 2001년 6월
- 2001년 4월
- 2001년 2월
- 2000년 12월
- 2000년 10월
- 2000년 9월
- 2000년 4월
- 1998년 1월
- 1996년 9월
- 1996년 5월
- 1995년 11월
- 1995년 8월
- 1994년 9월
- 1994년 4월
- 1994년 3월
- 1993년 11월
- 1993년 10월
- 1993년 9월
- 1993년 3월
- 1992년 4월
-
그 밖의 기능
서평 신간 서평 《좀비 자본주의》
좀비 자본주의의 심장을 찌르는 날카로운 비수
출처: <레프트21>
세계경제 위기가 5년째 지속되고 있지만, 회복의 기미는 보일 듯 말 듯 하고 한쪽에서 겨우 땜질해 놓으면 다른 쪽에서 터지는 일이 반복되고 있다. 일부 경제는 오히려 더 심각한 상황에 직면해 있다. 유럽 경제 위기가 날로 심각해지고 있고 유럽 지배자들은 스페인이 다음 희생양이 되지 않을까 전전긍긍하고 있다. …
‘좀비 자본주의’, 그 역습이 시작됐다!
출처: <프레시안> 장시복 교수 서평
2008년 세계 자본주의가 심각한 체제 붕괴의 위기를 겪으면서 사람들은 그동안 들어왔던 말들이 모두 허구임을 깨달았다. “시장에 맡기면 자원은 효율적으로 분배되며 경제는 잘 굴러갈 것이다.” “정부가 개입하면 경제 질서는 왜곡된다.” “세계화는 모두를 행복하게 만들며 더 나은 인류의 미래를 보장할 것이다.” 이 미사여구에 현혹되었던 사람들은 엄청난 세계 공황을 겪으면서 내가 살고 있는 세상이 무엇인가 잘못되었다는 점을 자각한 것이다. …
자본주의는 ‘좀비’, 싸움은 이미 시작됐다!
출처: <프레시안> 김민웅 교수 서평
죽은 자가 살아난다, 이러면 우리는 흔히 부활이라고 생각한다. 그건 기쁨이고 감격이다. 그러나 ‘좀비’의 경우는 좀 다르다. 이건 우선 무섭다. 그리고 추악하다. 뿐만 아니라 대응할 힘이 없으면, 희생당한다. 계속 죽은 상태로 있어야 할 존재가 공포감을 조장하면서 산 자에게 달려들어 그 목숨을 노린다. 이게 바로 좀비다. 좀비는 흡혈귀의 다른 형태다. 그런데, ‘좀비 자본주의’라니? …
경제위기 없는 자본주의? 천만의 말씀
출처: <한겨레>
크리스 하먼은 2006년 말부터 마르크스주의의 입장에서 자본주의 체제를 해설하는 개론서 <좀비 자본주의>를 쓰기 시작했다. “자본주의는 경제위기 없이 성장하는 새로운 길을 발견했다는 신념이 최고조에 달했을 때” 오히려 ‘그렇지 않다’는 말을 꺼내기 시작한 것. 결국 그가 이 책의 초고를 15만 단어가량 썼을 때인 2007년께, 전세계는 경제위기에 대한 우려로 뒤덮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