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 보관함
- 2021년 1월
- 2020년 12월
- 2020년 11월
- 2020년 9월
- 2020년 7월
- 2020년 6월
- 2020년 4월
- 2020년 3월
- 2020년 2월
- 2020년 1월
- 2019년 12월
- 2019년 11월
- 2019년 10월
- 2019년 9월
- 2019년 8월
- 2019년 7월
- 2019년 5월
- 2019년 4월
- 2019년 1월
- 2018년 12월
- 2018년 11월
- 2018년 10월
- 2018년 9월
- 2018년 8월
- 2018년 7월
- 2018년 5월
- 2018년 4월
- 2018년 3월
- 2018년 2월
- 2018년 1월
- 2017년 11월
- 2017년 10월
- 2017년 9월
- 2017년 8월
- 2017년 7월
- 2017년 5월
- 2017년 4월
- 2017년 3월
- 2016년 9월
- 2016년 7월
- 2016년 3월
- 2016년 2월
- 2015년 12월
- 2015년 10월
- 2015년 6월
- 2015년 5월
- 2015년 2월
- 2014년 10월
- 2014년 8월
- 2014년 7월
- 2014년 4월
- 2014년 3월
- 2013년 12월
- 2013년 11월
- 2013년 7월
- 2013년 6월
- 2013년 4월
- 2012년 11월
- 2012년 9월
- 2012년 8월
- 2012년 7월
- 2012년 6월
- 2012년 5월
- 2012년 1월
- 2011년 12월
- 2011년 11월
- 2011년 10월
- 2011년 8월
- 2011년 7월
- 2011년 4월
- 2011년 3월
- 2011년 2월
- 2011년 1월
- 2010년 9월
- 2010년 8월
- 2010년 7월
- 2010년 6월
- 2010년 3월
- 2009년 12월
- 2009년 11월
- 2009년 8월
- 2009년 7월
- 2009년 5월
- 2009년 3월
- 2008년 12월
- 2008년 8월
- 2008년 4월
- 2008년 1월
- 2007년 12월
- 2007년 7월
- 2007년 3월
- 2006년 8월
- 2006년 7월
- 2005년 11월
- 2005년 8월
- 2005년 5월
- 2005년 1월
- 2004년 11월
- 2004년 7월
- 2004년 5월
- 2004년 2월
- 2004년 1월
- 2003년 12월
- 2003년 11월
- 2003년 8월
- 2003년 7월
- 2003년 4월
- 2003년 3월
- 2002년 12월
- 2002년 10월
- 2002년 9월
- 2002년 8월
- 2002년 7월
- 2002년 6월
- 2002년 4월
- 2002년 2월
- 2002년 1월
- 2001년 11월
- 2001년 9월
- 2001년 7월
- 2001년 6월
- 2001년 4월
- 2001년 2월
- 2000년 12월
- 2000년 10월
- 2000년 9월
- 2000년 4월
- 1998년 1월
- 1996년 9월
- 1996년 5월
- 1995년 11월
- 1995년 8월
- 1994년 9월
- 1994년 4월
- 1994년 3월
- 1993년 11월
- 1993년 10월
- 1993년 9월
- 1993년 3월
- 1992년 4월
-
그 밖의 기능
서평 신간 서평 《코로나19, 자본주의의 모순이 낳은 재난》
신간
출처: <연합뉴스>
코로나 19 사태를 둘러싸고 제기되는 의문은 끝이 없다. 국내외 마르크스주의자와 학자, 의사, 보건의료 운동가들은 책 제목처럼 ‘자본주의의 모순’이라는 관점으로 이 같은 의문에 접근한다. … 영국 사회주의노동자당 중앙위원장 겸 런던대학교 교수인 알렉스 캘리니코스는 각국 정부·기업·언론이 모두 코로나 19 사태가 경제에 끼칠 악영향만 걱정하고 사람들 목숨은 뒷전이라는 지적과 함께 자신을 포함한 대학 교직원들이 휴교령과 대학 캠퍼스 폐쇄를 요구하며 투쟁하고 있다는 소식을 들려준다.
새로 나온 책
출처: <시사IN>
〈조류독감〉의 저자이자 저명한 마르크스주의자인 마이크 데이비스는 이 책의 서문에 실린 글에 2020년을 ‘전염병의 해’로 규정했다. 그는 미국이 수십 년간 신자유주의 정책을 추진한 결과 어떻게 전염병 유행에 취약한 나라가 되었는지 설명한다. 이 외에도 경제학자, 보건의료 운동가, 의사들이 쓴 글을 엮었다. 코로나19가 왜, 어떻게 자본주의 체제의 모순을 들춰내고 있는지 각자 관점에서 대답한다.
팬데믹, ‘적녹 연대’가 절실하다
출처: <시사IN>
국내외 마르크스주의 이론가와 활동가들이 긴급하게 제출한 글과 논평을 모았다. 코로나19와 팬데믹을 마르크스주의 시각에서 철저히 분석하고 있는 필자들은 각자의 전문 분야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현재 자본과 무관한 병원체는 없다”라고 한입으로 말한다.
신간
출처: <레디앙>
왜 자꾸 신종 바이러스가 출현할까? 사스와 메르스도 코로나바이러스인데, 왜 여태껏 코로나 백신은 나오지 않았을까? 지금 밀어닥치는 세계경제 위기는 단지 코로나19 때문일까? ‘물리적 거리 두기’ 하라면서 왜 공장과 사무실은 계속 돌리는 걸까? 문재인 정부는 왜 마스크 하나 제대로 공급하지 못할까? … 이 책은 이런 꼬리에 꼬리를 무는 의문들에 답하는 책이다.
코로나19: 자본주의의 모순이 낳은 재난
출처: <교수신문>
코로나19 사태를 다룬 국내외의 저명한 마르크스주의자, 학자, 의사, 보건의료 운동가의 글을 모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