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 보관함
- 2021년 1월
- 2020년 12월
- 2020년 11월
- 2020년 9월
- 2020년 7월
- 2020년 6월
- 2020년 4월
- 2020년 3월
- 2020년 2월
- 2020년 1월
- 2019년 12월
- 2019년 11월
- 2019년 10월
- 2019년 9월
- 2019년 8월
- 2019년 7월
- 2019년 5월
- 2019년 4월
- 2019년 1월
- 2018년 12월
- 2018년 11월
- 2018년 10월
- 2018년 9월
- 2018년 8월
- 2018년 7월
- 2018년 5월
- 2018년 4월
- 2018년 3월
- 2018년 2월
- 2018년 1월
- 2017년 11월
- 2017년 10월
- 2017년 9월
- 2017년 8월
- 2017년 7월
- 2017년 5월
- 2017년 4월
- 2017년 3월
- 2016년 9월
- 2016년 7월
- 2016년 3월
- 2016년 2월
- 2015년 12월
- 2015년 10월
- 2015년 6월
- 2015년 5월
- 2015년 2월
- 2014년 10월
- 2014년 8월
- 2014년 7월
- 2014년 4월
- 2014년 3월
- 2013년 12월
- 2013년 11월
- 2013년 7월
- 2013년 6월
- 2013년 4월
- 2012년 11월
- 2012년 9월
- 2012년 8월
- 2012년 7월
- 2012년 6월
- 2012년 5월
- 2012년 1월
- 2011년 12월
- 2011년 11월
- 2011년 10월
- 2011년 8월
- 2011년 7월
- 2011년 4월
- 2011년 3월
- 2011년 2월
- 2011년 1월
- 2010년 9월
- 2010년 8월
- 2010년 7월
- 2010년 6월
- 2010년 3월
- 2009년 12월
- 2009년 11월
- 2009년 8월
- 2009년 7월
- 2009년 5월
- 2009년 3월
- 2008년 12월
- 2008년 8월
- 2008년 4월
- 2008년 1월
- 2007년 12월
- 2007년 7월
- 2007년 3월
- 2006년 8월
- 2006년 7월
- 2005년 11월
- 2005년 8월
- 2005년 5월
- 2005년 1월
- 2004년 11월
- 2004년 7월
- 2004년 5월
- 2004년 2월
- 2004년 1월
- 2003년 12월
- 2003년 11월
- 2003년 8월
- 2003년 7월
- 2003년 4월
- 2003년 3월
- 2002년 12월
- 2002년 10월
- 2002년 9월
- 2002년 8월
- 2002년 7월
- 2002년 6월
- 2002년 4월
- 2002년 2월
- 2002년 1월
- 2001년 11월
- 2001년 9월
- 2001년 7월
- 2001년 6월
- 2001년 4월
- 2001년 2월
- 2000년 12월
- 2000년 10월
- 2000년 9월
- 2000년 4월
- 1998년 1월
- 1996년 9월
- 1996년 5월
- 1995년 11월
- 1995년 8월
- 1994년 9월
- 1994년 4월
- 1994년 3월
- 1993년 11월
- 1993년 10월
- 1993년 9월
- 1993년 3월
- 1992년 4월
-
그 밖의 기능
공지사항
《그리스 외채 위기와 시리자의 부상》 오류와 교환 안내
책갈피 독자 여러분께
얼마 전 출판된 《그리스 외채 위기와 시리자의 부상》에 오류가 있어 바로잡습니다.
제작 과정에서 실수가 있어 본문 내용 일부가 삭제됐습니다. 삭제된 내용을 포함해 다시 인쇄하고 있고 5월 26일부터 서점에 배포된 책을 최대한 교체할 계획입니다.
이미 책을 구입하신 분께서는 출판사(02-2265-6354)로 연락을 주시면 신속하게 교환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참고로 삭제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227쪽 11째줄
즉, 긴축은 자본가들의 관점으로 봐도 잘 바랐습니다. 의회 밖 투쟁으로는 특히 노동자 투쟁과 직접민주주의의 발전을 강조했습니다.
→ 즉, 긴축은 자본가들의 관점으로 봐도 잘못된 정책이라는 것입니다.
그러나 유럽 자본주의는 ‘자기 자신을 구원할’ 생각이 조금도 없음을 분명하게 보여 주고 있습니다. 오히려 유로존을 주도하는 세력은 온 힘을 다해 우격다짐으로라도 긴축을 또 강요하려 합니다.
쿠벨라키스와 저는 둘 다 이 ‘관계 기관’들과의 협상으로 긴축에서 벗어나려는 전략이 파산했다고 봅니다.
그러면 쿠벨라키스가 제시하는 대안적 전략은 무엇일까요? 풀란차스는 의회 안팎의 투쟁을 결합시키기를 바랐습니다. 의회 밖 투쟁으로는 특히 노동자 투쟁과 직접민주주의의 발전을 강조했습니다.